![](/_resources/10/2025/02/14/2025021412325539996_l.jpg)
대전 유성구가 올해 창업·마을·돌봄·문화 등 4대 혁신을 본격적으로 실행하며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주력한다고 전했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현장 중심의 소통을 강화하고 사업 추진의 장애요인을 해결하는 것을 구정 운영의 핵심 기조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유성구는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2025 주요업무계획 보고회를 열어 34개 부서가 참여한 가운데 2025년 주요 사업의 구체적인 방향과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정 구청장은 “그동안 구상하고 방향을 설정해 온 4대 혁신을 이제는 실질적으로 실행해야 할 때”라며 “현장에서 민간 주체, 관계자,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확대하고 현안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논의를 정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 구청장은 일론 머스크의 혁신 경영 사례를 언급하며, “장기 미해결 과제나 주요 현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가지겠다”며, 현장에서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구정의 실행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번 보고회를 통해 유성구는 36개의 신규 사업을 포함한 200여 개의 정책을 수립했다.
정 구청장은 청년지원센터 조성, 마을커뮤니티공간 확충, 행복누리재단 문화부 신설 등을 통한 문화예술 활성화를 언급하며 “구민들이 지역에 정착하고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유성구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사업으로 △유성온천지구 관광거점 조성 △지역 일자리 창출 및 골목상권 활성화 △어은·궁동 기반의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 등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여 침체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유성복합문화예술센터 건립 △과학문화 대중화 △반려동물 친화 환경 조성 △영유아 디지털 놀이터 및 도심 속 테마형 어린이 놀이시설 운영 등 여가문화 콘텐츠를 확충하여 구민의 일상 속 삶의 질을 높이는 데도 주력할 방침이다.
정 구청장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부서 간 협업과 소통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한정된 인원과 자원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부서 간 직원 간 협업이 필수적”이라며 협업과 소통을 점검하고 이를 평가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당부했다.
올해 유성구는 행정의 실질적 변화를 만들고 지역의 혁신을 선도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 민선 8기 목표를 실현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