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과 관련해 '탄핵 찬성' 여론이 57%, '반대' 여론이 38%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2월 11~13일 전국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4일 발표한 조사 결과다.
진보층과 보수층의 찬반 여론이 엇갈린 가운데, 중도층에선 탄핵 찬성론이 60%로 나타나 탄핵 반대론(33%)보다 높았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도 63%가 탄핵에 찬성했다.
연령별로 20~50대는 탄핵 찬성론이 높았다. 20대 61%, 30대 58%, 40대 73%, 50대 70%였다. 반면 탄핵 반대론은 60대(56%)와 70대 이상(59%)에서 높았다.
탄핵 찬성 이유로는 '비상계엄 선포'(30%), '헌법 위반/불법'(10%), '내란'(9%), '국정 능력 부족/국정 잘못함'(7%), '대통령 자질 부족/자격 없음', '국가 혼란/국민 불안'(이상 6%), '거짓말/진실하지 않음', '경제 위기 초래'(이상 4%) 등이 꼽혔다.
탄핵 반대 이유로는 '야당(민주당) 때문/발목잡기/줄탄핵'(37%), '계엄 정당/대통령 고유 권한'(13%), '탄핵 사유 아님'(10%), '국정 안정'(6%), '이재명 잘못/이재명이 싫어서', '대통령 임기 보장'(이상 4%) 등이 꼽혔다.
헌법재판소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선 '신뢰한다' 52%, '신뢰하지 않는다' 40%, 의견 유보 8%로 나타났다. 한 달 전에 비해 신뢰한다는 응답은 5%포인트(P) 하락하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9%P 높아졌다.
![](/_resources/10/2025/02/14/2025021411554190710_l.jpg)
정당지지도 혼전, 이재명 '적극 지지-적극 반대' 높아
정당지지도는 국민의힘 39%, 더불어민주당 38%,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2% 순으로 나타났다. 무당층은 16%. 직전(1월 21∼23일)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 지지도가 1%P 상승했고, 민주당 지지도는 2%P 하락해 순위가 뒤바뀌었다.
대통령 탄핵 국면과 맞물린 정당지지율 혼전에 대해 갤럽은 "탄핵 심판 과정 중 기존 지지층을 향한 대통령과 여당의 거듭된 메시지가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헌재의 탄핵 인용 시 치르게 될 대선에 대해선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정권 연장론) 40%,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정권 교체론) 51%로 집계됐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연장론(33%)보다 정권 교체론(54%) 쪽이 많고,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도 정권 연장론(17%)보다 정권 교체론(48%)가 높게 나타났다.
차기 대통령 선호도 조사에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 34%,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12%,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각 5% 순으로 나타났다. 30%는 특정인을 답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 탄핵 찬반을 기준으로, 찬성자 중 59%가 이재명을, 반대자 32%가 김문수를 꼽았다.
각 인물별로 지지와 반대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재명에 대한 '적극 지지한다'는 응답은 26%로 가장 높았지만,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는 강한 반대층도 41%로 나타났다. 갤럽은 이재명은 절대반대 비율이 높은 편이라고 했다.
여권 소속인 김문수는 '적극 지지한다' 12%,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 33%였으며, 오세훈은 '적극 지지한다' 6%,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 30%였다. 한동훈은 '적극 지지한다' 4%,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 37%, 홍준표는 '적극 지지한다' 5%,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 36%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응답률 16.4%,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