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차기 대선주자 후보군인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이재명 당대표의 '실용주의', '우클릭' 행보에 대해 "당의 정체성·본질을 규정하는 정책을 당대표가 일방적으로 쉽게 바꿔서는 안 된다"고 쓴소리를 했다.
김 전 총리는 14일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통적으로 민주당은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모두 민주당이 가지고 있는 이념만 가지고 상황을 돌파하지 않았고 그때그때 유연하게 대응을 해왔다. 이 대표도 최근 어떤 국민적 요구를 받아들이는 자세라고 본다"면서도 "다만…"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총리는 "관련 전문가라든가 이해 당사자들을 불러서 그분들과 토론하면 그것을 변경하는 과정 자체를 국민들이 지켜볼 것 아니냐. 그것을 통해 오히려 국민들이 상황을 납득하고 결과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반도체특별법 문제를 언급하며 "반도체 대전이라는 치열한 경쟁에서 국가가 해야 될 몫이 있고 그것을 규정하는 게 반도체특별법인데 그 중에 '주 52시간'은 사실 이 법안의 본질이 아니다"라며 "국가를 운영해야 하는데 어느 한 법에, 어느 한 특정 영역에 (대한) 예외를 두면 그것이 우리 사회 전체를 운영하는 틀 자체가 흔들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오히려 국가가 용수, 전력, 세제 혜택 등을 통해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는 게 우선이라며 "그 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실질적으로 주 52시간 노동시간 자체가 오히려 질곡이 된다면 그럴 때 다시 검토할 수 있는데, '그 조항 때문에 이 법 자체가 통과된다, 안 된다' 하는 건 너무 안일한 접근"이라고 국민의힘 측 입장을 비판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기본소득 문제에 대해서도 아마 본인의 트레이드마크였으니까 이 대표가 적절할 때 자기의 고민과 향후 방향에 대해 밝히지 않겠나"라고 언급했다.
당 내부의 통합·포용 문제도 지적됐다. 김 전 총리는 이 대표와의 회동 예정에 대해 "조율 중이다. 곧 아마 잡힐 것"이라며, 자신이 이 대표를 만나면 "당이 국민적 비판을 받고 있는 부분이 민주당의 정신이나 트레이드마크라고 할 수 있는 다양한 목소리가 못 나오는 분위기, 또 포용성이 없어진 분위기를 고쳐야 이 대표의 리더십이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당내 친명·비명 간 계파 갈등 문제에 대해 "한 팀이 돼서 대선을 치르며 같이 땀흘리고 고생을 하면 풀릴 것"이라며 "그러려면 지금 당을 책임지고 있는 이른바 주류가 먼저 손을 내밀고 품을 넓게 하는 수밖에 없다. 그건 역대 정당의 경험이고 현재의 민주당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했다.
그는 당내 통합을 이룰 구체적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제가 그걸 말씀드리는 건 적절치 않은 것 같고, 큰 줄기에 대해서 당의 민주성, 다양성, 포용성 등의 이야기를 했으니까 이 대표께서 스스로 그런 내용들에 '바깥에서 이런 비판이 있구나', '무슨 총구가 문제가 아니고 국민적 요구가 있어서 이런 목소리가 나오는구나' 이렇게 이해를 하시고 또 그런 고민을 하실 것"이라고만 했다.
팬덤 정치에 대한 비판도 눈길을 끌었다. 김 전 총리는 "최근 10여 년 사이에 정치인들이 왜 제때제때 국민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발언을 안 내놓는가 보면 팬덤의 요구에 따라가니까(그런 것)"라며 "정치인들이 자꾸 거기에 빠져들어가서는 안 될 것 같다. 정치인들은 공인이고, 공인은 국민에 대한 무한 책임을 지는 것인데 자신의 팬들의 요구에만 끌려다녀서는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개헌 문제에 대해 그는 "대통령한테 계엄이라는 막강한 권한을 준 헌법, 이거 계속 가져갈 수 없다"며 "개헌을 할 수밖에 없다. 이번 기회에 개헌 논의를 시작해서 적절한 시점에 완료를 하자는 이야기는 이재명 대표도 국가 지도자가 되겠다면 약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형 대통령, 민주주의적 대통령으로 바꿔야 한다"며 "각 권력기관 간의 충돌, 이번에 국회하고 대통령이 충돌했을 때 이런 부분은 어떻게 조정할 수 있나 하는 것" 등을 개헌안에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가 혼란을 줄이려면 개헌 논의는 대선과 관계없이 국회가 주도해서 국민들이나 전문가들 토론을 계속 이어가야 하고, 그 안이 모아지면 늦어도 내년 지방선거 때 개헌안이 국민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 안을 언제부터 적용할 거냐 하는 문제는 다음 대선후보들이 약속을 해야 한다"는 로드맵을 제안했다.
김 전 총리는 대선주자로서 자신의 강점에 대해 "기본적으로 저는 국민적인 갈등 문제의 조정,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의 합의, 통합, 공존을 이뤄내는 데 제가 조금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그런 목소리를 냈고 그런 역할을 해왔고 국민들이 일정 부분 인정해주신 부분이 있다"며 "이렇게 서로 간에 갈등이 심각할 때는 제가 필요가 있다"고 부각했다.
그는 "지금 현재 국민들이 제일 바라는 게 뭔가. 국정이 안정되 모습, 헌정 질서 회복, 민생 경제를 어떻게 살릴 것이다, 이런 거이 지금 국민들이 가장 바라는 것"이라며 "거기서 제 역할이 있다면 발언도 하고 행동도 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_resources/10/2025/02/15/2025021411504177622_l.jpg)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