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내 대표적인 탄핵 찬성파로 꼽히는 김상욱 의원이 울산시당위원장직에서 자진 사퇴하며 "옳음을 추구함에 값을 치루어야 한다면 달게 받을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14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시당위원장 사퇴 입장을 밝히며 그 이유에 대해 "울산지역 6개 당협의 실질적 추대로 시당위원장이 되었으나 더 이상 추대의 실질을 유지할 수 없기에 사퇴하는 것이 민주적이라 판단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6개 당협의 추대가 철회된 것은, 제가 비상계엄 해제와 대통령 탄핵에 적극 나섰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저는 비상계엄 해제와 대통령 탄핵에 앞장선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소신을 밝혔다.
그는 "국회의원은 헌정질서를 수호할 것을 선서했고, 헌법상 헌정질서 수호의무가 있다. 그렇기에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는 비상계엄을 해제하고,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려는 대통령을 탄핵하는 것은 국회의원이라면 정당을 떠나 행동해야만 하는 최소한의 당위이자 자격"이라며 "(이는) 제 인생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결정이며 미래 세대에 부끄럽지 않은 결정이었다"고 했다.
그는 "비상계엄을 막으러 국회로 달려갈 때 제 바람은 오직 하나였다. 제가 다치더라도 비상계엄을 해제할 수 있게, 그래서 국민들이 다치지 않게 해달라는 것"이라며 "만약 그 날 비상계엄이 해제되지 않았더라면 다음날 수백만의 항의시위가 이어졌을 것이고, 계엄군은 이를 유혈진압했을 것이며, 대한민국은 독재의 어두운 터널로 들어설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비상계엄 해제와 대통령 탄핵은 진영의 문제가 아니다.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국가를 지키며 국민을 지켜내는 것, 비상식과 거짓으로부터 상식과 옳음을 지켜내는 것은 정치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나서야 하는 당위"라며 "저는 대통령 탄핵에 대한 당론을 따르지 않았지만, 국가와 국민과 민주주의와 옳음과 상식에 따라 보수주의자에게 부여된 역사적 소명에 충실하려 했고 '명예로운 불복종'의 길을 선택했다"고 자부했다.
그는 "포고령과 무장군인의 해산명령에 굴하지 않고 앞을 막아선 시민들, 또 그 시민들이 다치지 않게 배려하고 부당한 명령에 불복종한 계엄군들, 정치 금지 포고령에도 불구하고 국회로 달려온 선배 동료 의원" 등 "명예로운 불복종으로 나라를 구한 많은 분들"을 호명하며 "명예로운 불복종이야말로 진정으로 국가와 국민에게 충성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난 10일 SNS에 쓴 글에서는 국민소환제 도입 논쟁과 관련 "국민의 지지로 공직을 수행하는 선출직은 국민이 소환할 수 있어야 한다. 민주주의의 당연한 귀결"이라고 의원 소환제에 찬성 의사를 밝히며 "저의 지역 사정을 감안하면, 제가 국민소환제의 1번 대상자·희생자가 될 수 있겠다 싶지만 그것을 감수하고서라도 대한민국 정치발전을 위해 필요한 제도"라고 자조적으로 말하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