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로 국내 철강산업의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포항시가 광양시·당진시와 함께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섰다.
포항시는 13일 광양·당진시와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대책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철강산업의 현황과 피해 상황을 공유하며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석했다.
최근 글로벌 철강 시장은 2021년 이후 경기 둔화로 인해 수요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조강 생산량 증가로 인해 공급 과잉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저가 공세와 일본의 엔저 현상으로 인해 국내 철강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전례 없는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이 최근 한국산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포항·광양·당진시는 국내 조강 생산량의 약 93%를 차지하는 철강산업 중심지로, 철강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세 도시는 이번 위기를 지역 산업 차원을 넘어 대한민국 철강산업 전반의 문제로 인식하고, 여·야·정부가 협력해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철강산업 붕괴가 국가 경제 전반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긴급 금융지원 ▲세제 혜택 확대 ▲대정부 지원 요청 등의 내용을 담은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철강은 자동차, 조선, 전자 등 주요 산업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이자 대한민국의 주력 수출품”이라며, “철강산업의 위기는 곧 국가 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포항시는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추진 중이며, ▲국내 기업 의무할당제 도입 ▲산업용 전기료 인하 ▲중국산 후판 반덤핑 제소 신속 처리 ▲수출 쿼터제 협의를 위한 외교적 노력 등 다양한 대정부 지원 대책을 건의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