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가 함열농공단지에 '소재·부품 산업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을 추진하는 등 '쌍특구 시대'를 정조준하고 나섰다.
익산시는 함열농공단지 9만 평 규모에 소재·부품산업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되면 기업 유치에 속도를 낼 수 있다고 보고 정부에 추가 지정 신청을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6월 제3산업단지와 국가식품클러스터에 바이오 분야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데 이어 두 번째 특구 지정에 적극 나선 것인데 전북에서는 유일하게 1단계 특구 지정에 이어 2단계 추가 지정에 적극 나선 것이다.
![](/_resources/10/2025/02/13/2025021311322327826_l.jpg)
소재·부품 산업은 제조업의 핵심 기반으로 제품 생산에 필요한 기초 자재와 부품을 공급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익산시는 특구의 추가 지정을 위해 2개 기업과 총 525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지난해 12월 전북특별자치도에 특구 계획을 제출했다.
전북자치도는 익산시를 포함해 남원, 고창 등 총 129만㎡(39만 평) 규모의 특구 지정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신청할 예정이다. 이후 지방시대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추진 대상 산업단지는 2019년 준공된 익산함열농공단지로, 기회발전특구 지정 시 각종 세제 혜택과 보조금 지원 등 맞춤형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기업 유치를 촉진하고,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특구로 지정될 경우 △세제 감면 △보조금 확대 △상속세 면제 가능성 등이 있다. 우선 창업 기업이나 신설 사업장은 소득세·법인세를 최초 5년간 100% 감면하고 이후 2년은 50% 감면 등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
또 특구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 비율 중견기업 기준 5%에서 8%로, 중소기업 기준 5%에서 10%로 가산해 상향된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일부개정법률'이 개정될 경우 이전 기업에 대한 상속세 면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바이오·소재·부품 두 분야의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해 산업 구조의 다각화를 추진하고 기업의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을 더욱 촉진할 계획"이라며 "소재·부품 특구가 추가 지정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