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제주지부가 김광수 교육감의 학교 내 비정규직 노동자 차별 해소 발언을 환영하며 책임있는 후속조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광수 교육감은 지난 10일 주간 기획조정 회의를 주재한 지리에서 “교육청 앞에 걸려 있는 현수막 가운데 가장 가슴이 아픈 것은 ‘학교 안의 차별 어떻게 해결할 것입니까’라고 말하며, 이러한 차별 중에서 가장 해결하고 싶은 분야는 비정규직 노동자 수당”이라고 강조했다.
현수막은 최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제주지부가 비정규직 노동자 차별 해소를 위해 게시했다.
민주노총은 12일 논평을 통해 "교육청 앞에 게시한 현수막에 교육감이 응답해 준 점을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동조합이 만나고 있는 담당 공무원들은 교육감과 생각이 다소 다른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노총은 "교육감의 발언이 진정성을 얻고 실현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점이 해소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광수 교육감의 발언이 힘을 얻기 위해선 학교 내 비정규직 노동자를 인간답게 대하는 문화 조성, 비정규직 노동자 수당 인상, 시설개선에 대한 노동자의 의견 적극 반영 등 3가지 문제점 해소를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먼저 학교 내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인식 개선과 관련 "교육청의 담당 공무원들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대하는 태도에서 위계가 드러나는가 하면, 교육공무직원들을 효율성이 좋은 도구로 대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며 "더이상 교육공무직원을 학교에서 지워진 존재가 아니라, 교육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대하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 김광수 교육감은 일선 현장에서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분명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수당 인상 문제에 대해 "김광수 교육감의 발언이 그저 립서비스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수당 인상에 대한 교육청의 합당한 가이드라인이 먼저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급식 현장뿐만 아니라 청소현장 등 학교 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 개선에 대해서는 "사업들이 생식내기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해당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가장 전문가라는 생각으로 사업 진행과정에서 노동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다시 한번 김광수 교육감의 차별해소 발언을 환영한다"면서 "교육감의 의지가 일선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