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sources/10/2025/02/12/2025021214371691212_l.jpg)
대전 유성구(구청장 정용래)가 복지 대상자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복지 지도 유성복지핸디맵을 구축하고 오는 3월부터 본격적인 활용에 나선다.
유성복지핸디맵은 중부권 최초로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제작된 온라인 복지 지도로, 사회복지 방문 업무의 증가에 대응하고 복지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담당 공무원들은 사무실은 물론, 현장에서도 실시간으로 복지 대상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복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유성복지핸디맵은 △고독사 위험군 △복지 사각지대 발굴 대상자 △관내 복지 대상자 현황 △사회복지시설 현황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순한 복지 대상자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밀도·사각지대 영향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 기능이 추가되어 현장에서 즉시 정보를 조회하고 활용할 수 있다. 복지 담당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신속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유성구는 이번 시스템 구축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고독사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그동안 복지 대상자를 관리하는 업무가 문서나 단순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유성복지핸디맵을 통해 공간 기반의 시각적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복지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단순히 개별 복지 대상자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 복지 서비스의 분포와 취약 지역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선제적 복지 행정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복지 대상자 전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유성복지핸디맵을 활용해 복지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앞서가는 복지도시 유성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유성구는 향후 유성복지핸디맵을 더욱 고도화해, AI를 활용한 위험 예측 기능을 추가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역별 맞춤형 복지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복지 정보 공유 시스템을 강화하여 유관 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복지 서비스의 질을 한층 높일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