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유력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소속 기자들이 사내에 대자보를 게시하고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수감된 윤 대통령에 대한 자사의 편파적인 보도를 비판했다.
11일 대구 지역 매체인 <평화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국기자협회 매일신문지회와 1년차 기자부터 15년차 기자까지 매일신문의 10개 기수 기자들 36명은 대구 매일신문사 3층 편집국에 릴레이 대자보를 붙였다.
매일신문지회는 "민주주의 실종된 보수 언론사. 독자 신뢰 포기한 편파 매일신문"이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붙였고, 이어 "매일신문 79년 역사와 전통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참담하고 부끄럽습니다(기자직 48기 일동)", "극단 정치 받아쓰기에 무너진 저널리즘(기자직 50기 일동)", "매일신문 52기가 기협 성명을 지지하며(기자직 52기)", "매일신문의 품격과 가치를 되찾자(2017년 입사자)", "정파적 이분법을 넘어 진실로 나아가달라(기자직 55기)", "매일신문이 진정한 공론장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기자직 56기 일동)", "매일신문의 가져야할 시대정신은 무엇인가(기자직 57기 일동)", "'지역의 목소리' 아닌 '극우의 메아리'로 전락한 매일신문(기자직 58·59기 일동)", "우리의 1년을 의심하며(기자직 60기 일동)" 등의 제목의 대자보가 붙었다.
매일신문지회는 지난 10일 성명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했지만 사람은 안 다쳤으니 해프닝 아니냐'는 게 비상계엄에 대한 매일신문 편집국 종합데스크 인식"이라며 "상식 있는 보수 언론이라면 자유민주주의 헌정을 유린한 대통령의 정당성 설득에 지면을 할애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회는 "편집국은 반민주적 계엄에 동조하고 옹호하는 것이 우리 길이자 보수 가치를 지키는 일이라고 주장한다"면서 "'대한민국 보수 핵심 가치는 자유민주주의'라던 매일신문 가치에 반한다"고 비판했다.
지회는 "윤 대통령을 비판하는 이들에 대해서는 갖은 근거를 끌어다 꾸짖었다"며 "객관과 이성적 분석 보도와 발제는 실종됐다"고 지적했고 "계엄을 입법 폭주와 동급으로 끌어내려 사안의 경중을 희석했다"며 "탄핵 반대 측 입장에는 골몰하면서 탄핵 찬성 측 주장이나 계엄 관련자 수사 경과 보도는 최소화했다"고 비판했다.
지회는 "부정선거론을 다루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기획기사 연재가 중단됐고, 기사화를 주문하듯 보수 유튜브 링크와 '받은 글' 지라시도 데스크 단체 대화방에 잇따라 날아들었다"며 "이 같은 보도 과정과 결과에 우려를 표하는 대내외 심의기구(편집국 자유언론실천위원회)의 지적도 잇따라 묵살했다"고 주장했다.
지회는 "매일신문 독자위원회 역시 수 차례 걸쳐 본지 사내 칼럼 편향성과 계엄 보도 문제점을 강하게 지적했지만 이를 무시했다"며 "근거 없는 의혹 제기를 사실관계 검증도 없이 받아쓰는 스피커가 되어, 편파 보도와 허위 보도에 앞장서는 윤 대통령의 결사옹위 첨병이 됐다"고 비판했다.
![](/_resources/10/2025/02/12/2025021117334263323_l.jpg)
![](/_resources/10/2025/02/12/2025021117410017975_l.jpg)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