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최근 '우클릭' 정책 행보가 정돈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당내 통합과 관련, 이 대표의 유감 표명 등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하는 한편 유시민 작가 등 친명(親이재명) 진영의 배타적 태도를 강하게 지적했다.
최 전 정무수석은 11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먼저 전날 국회 교섭단체대표연설을 통해 이 대표가 제시한 '먹사니즘'에 대해 "얼마 전 반도체특별법 관련 노동시간 토론회도 직접 하시고, 그래서 (52시간제) '예외를 둬야 된다'는 의견에 대해서 받아들이는 듯한 말씀을 했다"며 "그런데 (10일에는) 주4일 근무제를 얘기했다. '노동시간을 유연하게 해야 한다'는 토론회를 하고 이번에 또 '노동시간 단축'을 얘기하니까 이게 어떻게 정리가 되는 것인지…. 내용을 좀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문재인 정부의 개혁 사업이었던 주52시간제에 대해 이 대표가 '예외 인정'을 언급한 데 대해 "그건 내용을 좀 잘못 이해하신 것"이라고 비판하며 "지금도 예외 규정이 있고, 그게 반도체에만 해당되는 게 또 아니니 진짜 필요하다면 R&D 전체를 놓고 관찰·판단해야 되는 문제이고, 또 (반도체 업계 내에서도) SK는 사실 아무 문제 없다고 하는데 삼성은 생산라인에 (52시간제 예외를) 적용하길 바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소위 우클릭과 AI 시대의 노동시간 단축, 이것이 하나의 정책이 왔다갔다 하거나 그때그때 조금 다른 주장으로…(비칠 수 있다)"며 이럴 경우 "먹사니즘이나 잘사니즘이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그런 것을 이 대표가 좀 잘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최근 비명계 주자들의 잇단 입장 표명으로 민주당 내 논제로 떠오른 '통합' 화두에 대해 "통합을 위해서는 통합을 저해했던 것들에 대해 대표가 언급을 하고 유감 표명을 하고, (그 후에) 통합을 주장하고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최 전 정무수석은 주장했다.
그는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계엄 발생 후로 양당 지지율의 변화를 다 목도하고 있지 않느냐. 아마 깜짝 놀랐을 것"이라며 "박근혜 탄핵에 대한 학습효과로 '탄핵은 곧 조기 대선이다' 그래서 보수가 결집을 한 것이고, 그래서 이 대표에 대한 어떤 비호감·반감이 또 작동하고 있다. 그러면 통합하고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전 수석은 같은 친문 진영 내에서도 "임종석 전 비서실장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얘기한 것이 조금 결이 다르다"며 "임 전 실장은 '지난 대선(패배) 책임은 이 대표', '이 대표 주변의 아첨꾼들이 망치고 있다‘ 이런 얘기를 한 반면 김 전 지사는 '사과와 통합'을 얘기했다"고 짚었다.
그는 "대선은 이미 51대 49 게임이 됐고, 이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통합과 확장밖에 없다"고 재강조하며 "그걸 하자는 것인데 '통합하자'는 얘기에 '내부 총질'이라고, '분열'이라고 오히려 몰매를 놓듯이 해버리고 있다"며 당내 친명(親이재명)계에 날을 세웠다.
그는 "무슨 민주당 계엄령을 선포한 것도 아니고, '통합하자'는 말에 '왜 내부 총질을 하느냐'는 식"이라며 "(특히) 유시민 작가의 발언은 제가 보기에는 최근 들어 정치권 최악의 언어"라고 비판했다. 그는 "한 사람 한 사람마다 민주당 정치인들을 놓고 '배은망덕하다', '책 읽어라', '지도자 행세하지 말라', '다른 직업 찾아라'? 이건 조롱이고 모멸임을 떠나서 이 분들은 누가 봐도 민주당 내의 잠재적 대선 주자들인데 이것 자체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얘기로 들린다"고 했다.
그는 "사람 사람마다 그렇게 적의에 가득 차고 모멸적인 언어를 구사하는 건 제가 보기에는 민주당에도 도움이 안 된다"며 "이것이 정말 집권에 도움이 되는 얘기인지", "결국 중도층의 눈에는 '플러스(+) 1표'도 안 된다", "중도층이나 국민들이 마음을 주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동할 것"이라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일극주의의 사수대처럼, 벌떼처럼 공격하고 '입틀막'을 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고 그는 덧붙였다.
그는 다만 탈당한 이낙연 전 총리가 전날 '윤석열·이재명 동반 청산'을 주장한 데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는 "무책임한 얘기"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통합과 확장을 주문해서 대선에서 이기자는 것과, 윤 대통령과 이 대표 동시 청산이 시대적 사명이라고 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본인의 돌파구를 열기 위해서 했던 얘기로 생각되지만 설득력이 있거나 현실적이지 않은 얘기"라고 일축했다.
![](/_resources/10/2025/02/12/2025020414325425494_l.jpg)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