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방지를 위해 선제적 방역조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11번째 확진 발생과 함께 지금까지 육용오리와 산란계 등 총 44만수를 살처분하는 등 농가들의 불안감은 빠르게 번지고 있다.
11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경에 김제시 백산면 소재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가 확진됐다.
이로써 전북은 작년 12월 7일 김제 공덕면의 오리 농장에서 첫 확진이 발생한 데 이어 11번째 양성 판정이 나는 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세가 심상치 않아 고강도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_resources/10/2025/02/11/2025021106262179044_l.jpg)
11번째 양성 발생으로 전북자치도는 11개 농장에서만 총 43만8768두의 육용오리와 산란계, 토종닭 등을 살처분하는 등 농가들의 생계 터전이 위협을 받고 있다.
살처분한 가금은 육용오리 17만6700여 수에 산란계 24만5000수, 토종닭 1만7000수 등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김제시 공덕면과 용지면 등에서만 5차례의 양성이 발생했고 부안군 주산면과 줄포면·계화면 등에서도 5번째 확진 농장이 나오는 등 주로 김제시와 부안군에 집중됐다.
군산시 나포면에서는 토종닭의 양성 사례가 처음으로 나와 우려감을 더해주고 있다.
전북에서만 11건의 확진이 발생한 것은 전국 35건의 사례 중 30%에 육박하는 것이어서 확산세 차단을 위한 별도의 고강도 대책에 나서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 가금농장 발생 현황을 보면 전북이 11건으로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충북 6건, 경기·전남 각 4건, 충남 3건, 경남·경북 각 2건, 강원·인천·세종 각 1건 등이다.
지역 내 가금농장 기반이 초토화될 상황에 처해 있지만 전북자치도는 확진 발생 때마다 초동대응팀을 투입하여 출입통제와 초동 역학조사 등 선제적인 방역조치를 실시했고 사육중인 가금을 살처분했다고 밝혔다.
김제시 백산면에서 11번째 양성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도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방지를 위해 24시간 동안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하고 추가 확산방지를 위해 반경 10km 내 방역지역 가금농장 35호의 이동제한과 소독 강화 등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북자치도의 한 관계자는 "과거 2020년에는 16건이 발생했고 2023년 겨울철에는 18건이 발생하는 등 올해만 유난히 많이 발생한 것은 아니다"며 "이동차량 전파 우려가 있었지만 바이러스 조사 결과 검출되지 않는 등 주로 철새 이동경로에 따라 양성 발생이 나와 수뇌부 차원에서 매일 대책회의를 하는 등 다각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