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의회 이태손 의원(달서구4)이 대구시의 공공기관 2차 이전 대응이 소극적이라고 지적하며, 보다 적극적인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_resources/10/2025/02/10/2025021017333375138_l.jpg)
10일 대구시의회에 따르면, 이 의원은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공공기관 이전은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정책”이라며, “1차 이전 성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하면서 2차 이전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공공기관 2차 이전을 주관하는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4월, 총선을 이유로 발표를 연기한 데 이어 올해 연말로 다시 미루며, 사업 추진이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이 의원은 대구시가 보다 공격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은행 대구 유치… 차별화된 전략 필요
특히, 지난해 11월 윤재옥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중소기업은행 대구 유치 관련 개정 법률안이 지역에서 큰 기대를 받고 있는 만큼, 대구시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 이 의원의 주장이다.
이 의원은 2014년 신용보증기금 본사 이전, 전국 최고 수준의 중소기업 및 종사자 수 등을 대구시의 강점으로 꼽으며, 타 지자체와의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월배차량기지 후적지, 성서행정타운, 법원 후적지 등 우수한 입지를 활용한 전략적 유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공기관 이전 홍보 예산 삭감… 실천 의지 의문
이 의원은 대구시의 실천 의지가 부족하다는 대표적인 사례로, 공공기관 2차 이전 홍보예산 삭감(5000만 원→2000만 원) 과 한국행정학회 세미나 주제 변경(공공기관 2차 이전 전략 → 대구경북행정통합) 을 꼽았다.
이 의원은 “대구시가 공공기관 이전을 위해 오랜 기간 준비해 온 것으로 알고 있지만, 최근 보여준 모습은 추진 전략과 실천 의지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공공기관 이전의 성과 도출을 위해 대구시가 지역 정치권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이 의원은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지역 정치권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대구시는 중소기업은행법 개정안 통과를 포함해 공공기관 유치의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구시는 공공기관 이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더욱 체계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