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방지 개헌, 민주당이 나서야 합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지난 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피력했다.
김 전 지사는 "이번 탄핵의 종착지는 이 땅에 그런 내란과 계엄이 다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헌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 정치권은 책임있게 탄핵 그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전 지사는 "내란 이전에는 대통령제·책임총리제·내각제와 같은 권력구조에 관한 것이 개헌의 주요 쟁점이었다"며 "내란 이후는 불법적 계엄을 어떻게 원천적으로 방지할 것인지가 더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또 "대통령의 권력을 어떻게 분산시키고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강화할 것인지도 함께 정해야 한다"면서 "그 제도 위에 새정부가 출범해야 누가 다음 대통령이 되더라도 국민이 불안하지 않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지금 진행되고 있는 탄핵소추 과정이나 형사재판 과정에은 12.12쿠데타와 광주학살에 대한 사법적 심판이 판단의 기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계엄과 내란을 원천 봉쇄하는 개헌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공화정을 지켜낸 광주항쟁 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는 것도 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고 말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민주공화정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극복하는 국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탄핵의 종착지가 될 것이다"고 하면서 "이재명 대표께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개헌 추진에 앞장서 주실 것을 요청한다. 저 또한 지지하고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