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며 본격적인 정치 재개에 나선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첫 메시지는 '노무현 국민통합 정신'이었다. 김 전 지사는 민주당 내 대선주자군으로 분류된다.
7일 민주당에 공식 복당한 김 전 지사는 첫 행보로 부산 중구 부산영화체험박물관에서 열린 노무현재단 부산지역위원회 정기총회에 참석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탄핵 심판 인용과 조기 대선에서의 정권 교체를 위해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건 노무현의 국민통합 정신"이라며 "민주당 복당을 시작으로 노 대통령이 이루고 싶었던 국민 통합을 꼭 이뤄내겠다는 마음으로 정치에 임하겠다"
김 전 지사는 "탄핵이 인용돼 조기 대선을 하게 되면 민주당이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데 이 상태로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민주당을 더 키우고, 민주당에 실망해 떠난 사람들을 다시 돌아오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노무현 대통령이 평생의 목표로 꼽은 국민 통합 정신으로 탄핵 후 조기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계엄 이후 탄핵 심판이 진행되면서 탄핵 찬성과 반대 세력으로 나뉘어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빚고 있다. 우리가 대선에서 승리하면 탄핵에 반대했던 이들과 어떤 관계로 어떻게 지내야 할지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갈등의 뿌리인 불평등과 양극화를 국민통합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노무현 정신'의 핵심을 '국민 통합'으로 보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의 평생의 과업은 지역주의 극복이었다. 이를 위해 험지인 부산에 내리 출마해 고배를 마신 것도 '국민 통합' 시도의 일환이다. 노 전 대통령은 '정당이 특정 지역에서 3분의 2 이상을 차지할 수 없도록 선거법을 개정하자'는 선거제 개혁을 제안하기도 했다. 2005년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에 한 대연정 제안도 '국민 통합'의 방안이었다. 다만 이같은 시도들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김 전 지사는 대선과 함께 제도 개혁, 즉 개헌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전 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제2의 계엄이나 내란이 없도록 만드는 '원포인트 개헌' 정도는 차기 정부가 출범하기 전에 우리가 정치권이 해결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이른바 '2단계 개헌'을 주장하며 "(내란 방지 개헌은) 여야가 합의만 하면 다음 대선에서 국민투표를 통해서 할 수 있다"며 "다음 대통령이 누가 되더라도 국민들 불안하지 않게 해드리고, (이후 2차 개헌을 통해) 권력 구조의 문제라든지 국민 기본권 특히 지방분권 국가균형발전 이런 부분들을 충분히 논의하자"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