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국정 브리핑 1호'로 발표한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1차 탐사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간 가운데 야당에서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인 조국혁신당 서왕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민의힘은 '대왕술고래 프로젝트' 되살릴 생각을 멈추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어제 브리핑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1차 탐사 시추 결과는 경제성을 확보할 만큼 유의미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사실상 윤석열표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 의원은 "산업부가 대왕고래 사기극의 실체를 자백했는데도,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한번 시추해봤는데 바로 나온다면 산유국이 안되는 나라가 어딨겠냐'며 끝까지 억지를 부리고 있다. 대통령 발표 당시, 매장량 가능성이 ‘삼성전자 시총 5배’라고 뻥튀기했던 산업부가 이제 와서는 '정무적 개입'이라고 발뺌하고 나섰다. 이런데도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대국민 사과' 대신 '사기극의 연장'을 외치고 있다. 어처구니없는 처사다"라고 비판했다.
서 의원은 "위헌·위법적 비상계엄 선포의 당위성을 주장하면서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이유 삼는 뻔뻔함도 모자라, 이미 종말을 고한 좌초자산에 수백억, 수천억 원의 세금을 쏟아붓겠다는 집권여당의 무지몽매에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국회의 지속적인 자료 요청에도 윤석열 정부는 영업기밀을 이유로 정보를 비공개했다. 액트지오와의 입찰 과정, 계약 내용, 전문성 검증 등 주요 의혹에 대해서도 불통과 독선으로 일관했다. 탄소 비용 부담, 경제적 타당성 부족, 채굴 지역의 지진 위험성 등 수많은 문제에도 납득할만한 어떠한 답도 내놓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윤석열표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정쟁 이슈로 부각되면서 정작 이득을 본 건 세금 체납 전력이 있는 액트지오뿐이다. 대왕고래 사업으로 용역비 40억 원을 챙기더니, 이제는 '마귀상어'로 한탕 더 노리려 한다. 전문가 코스프레하는 사기꾼의 감언이설에 국민이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서 의원은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이제 ‘대왕술고래 프로젝트’로 전락했다. 대국민 사기극의 자초지종을 낱낱이 밝혀야 한다. 국민의 혈세가 바다 한가운데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관련 사업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_resources/10/2025/02/07/2025020715341415089_l.png)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