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면 차기 대권이 유력하다는 평을 듣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근 정치·정책행보에 대해 당내로부터 쓴소리가 나왔다. 이 대표의 '민생지원금 없는 추경', 반도체특별법 52시간제 예외 수용 등 이른바 우클릭 행보가 일관성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은 4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에서 제기한 추경의 필요성이 뭐였나. 민생지원금 아니냐"며 "민생지원금은 총수요 관리 차원에서 지금같이 경제가 어려울 때에는 소위 재정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이야기이고, 추경도 그 차원에서 민주당이 제기해왔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정무수석은 "그런데 민생지원금 25만 원을 안 하더라도 추경만 한다면 동의하겠다는 것은 민주당의 애당초 주장을 무색하게 하는 것"이라며 "그러면 무슨 추경이 되느냐, 적자 추경이 된다", "세수 부족분 충당을 위한 추경 정도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본래 민주당이 주장했던 목적이 상실되는 주장이기 때문에 이건 '흑묘백묘'가 아니라 목적과 근거가 없어진 것"이라며 "적자 추경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동조하는 것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이것은 추경을 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하고 똑같은 것"이라고도 했다.
최 전 수석은 또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제 예외 적용 문제에 대해서도 "이것은 반도체(특별)법에만 특정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R&D 분야에 52시간 적용이 맞는지', '그렇다면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이렇게 접근하는 게 맞다"며 "단순한 우클릭, 중도확장, 이런 것이 아니고 조금 더 크게 면밀하게 보면서 근본을 잃지 않는 방식들이 있는데 그런 점에서는 아쉽다"고 비판했다.
최 전 수석은 민주당 내부 통합 문제에 대해서도 이 대표를 겨냥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그는 "당내에서는 사실 국민의힘보다 (민주당이) 더 '입틀막'"이라며 "지금 국민의힘 대선주자들 보면 오세훈 서울시장은 탄핵 찬성, 홍준표 대구시장은 반대, 그러면서 후보들끼리도 비판하고 윤 대통령에 대한 시각도 다르다. 그런데 민주당은 '통합하라'고 하는데 이것을 '분열'이라고 얘기하고, 이재명 대표는 '통합 옳다'고 피상적으로 얘기만 하고 '총구는 바깥으로 향하라'고 한다. 이래가지고 중도 확장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내 통합에 대한 진정한 조치를 하고, 경쟁하는 사람에게 총질하고 무시하는 것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국민의힘과 비교해 봤을 때도 민주당답지 않은 것"이라고 사실상 이 대표를 겨냥했다.
그는 최근 친문 진영 대선주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총선 당시 당을 떠난 이들에 대해 당 지도부가 사과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가 친명계의 반발을 산 데 대해 "한마디로 당내 갈등이 있었으니까 '통합하라'고 했는데, 민주당 친명 의원들 반응이 '왜 분열행위를 하느냐'는 반응"이라며 "보면서 뜨악했다. 통합 노력을 해야 이긴다고 하는데 그런 것을 '분열적 행위'라고 얘기하고 '지금 분열할 때냐', '안에다 총질할 때냐' 이렇게 반응하니까 후폭풍이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는 친명계 의원들을 넘어 이 대표 본인까지 겨냥한 말로 보인다. 이 대표는 전날 SNS에 쓴 글에서 "다양성과 비판은 현대 정당의, 우리 민주당의 생명과도 같은 원칙"이라며 "한 목소리만 나오지 않도록 오히려 다른 목소리를 권장하면 좋겠다. 우리 안의 다른 의견을 배격하면서 내부 다툼이 격화되면 누가 가장 좋아하겠느냐"고 하면서도 "작은 차이로 싸우는 일은 멈추고 총구는 밖으로 향했으면 한다"고 했다.
최 전 수석은 이 대표가 '통합이 옳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히고 구체적인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했다. 그는 "당내에 김경수 전 지사에 대해서 공격하는 의원들을 향해 '옳지 않다', '하지 말라' 이런 것을 분명히 했는데 '조치'는 언급이 없었다"며 "당내 통합을 어떻게 할 거냐", "통합에 대한 얘기, 다양성에 대한 얘기는 있었지만 실질적인 조치는 없었다"고 했다.
그는 "총선을 거치면서 지금 민주당은 거의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이 된 상태"라며 "정치적으로 충돌하거나 공천 과정에서 떠나간 사람들이 생겨 왔는데, 떠난 사람을 (다시) 끌어안아 하나된 민주당을 만들고 이 힘으로 정권교체를 하자는 것에 대해 실제적인 어떤 조치들이 뒷받침돼야 통합의 진정성이 확인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