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상공회의소(회장 김원요)가 올해 초 신년하례회 석상에서 7공수여단장에게 지역사회 봉사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감사패를 전달한 것으로 확인돼 부적절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익산상공회의소와 회원들에 따르면 상의는 지난 6일 오전 10시 30분 익산웨스턴라이프호텔 그랜드볼륨홀에서 '2025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각급 기관·단체장을 비롯한 지역사회 인사 등 300여 명이 대거 참석했으며 익산상의는 이 자리에 기업인 3명에게 '익산상공대상'을 수여한 데 이어 상공업에 기여한 공로로 전현철 고용노동부 익산지청장과 함께 김종탁 제7공수특전여단장 등 2명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하지만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제1공수여단 등이 국회로 출동했고 계엄 이튿날 익산의 제7공수여단 등 후방 주둔 군부대의 추가 파견 명령이 내려졌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된 상황에서 7공수여단장에 감사패 전달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부적절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로 신년하례회 행사장에서도 "계엄 선포와 탄핵 국면, 공수여단의 국회 출동 등을 감안할 때 7공수여단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말들이 오갔던 것으로 알려졌다.
익산상의는 신년하례회 행사에 앞서 김 여단장에게 '감사패'를 수여하는 것과 관련해 조심스럽게 고민을 하다 재작년과 작년 7월 수해 때 지역사회에 봉사했던 공을 생각해 최종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은생 익산상의 사무국장은 "계엄 선포와 탄핵 국면에서 여러 사실이 확인되며 7공수여단장에게 감사패를 주는 것이 적절하느냐에 대해 사무국 차원에서 논의했지만 순수한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엽 참여자치 전북시민연대 사무처장은 "내란범죄 전모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꼭 이 시기에 7공수여단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공수여단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는 알지만 그래도 부적절한 처사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전북평화와인권연대는 전날인 16일 성명을 내고 "전북도민들은 민주화운동의 역사에서 시민들을 학살한 전북지역 주둔 군부대가 또 다시 내란과 관여된 것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바라고 있다"며 "7공수여단은 1980년 5.18항쟁 당시 '비상계엄 철폐 및 전두환 퇴진'을 촉구하며 농성하던 전북대 학생들을 무력진압하고 체포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 과정에서 이세종 열사가 5.18항쟁 최초로 희생되었고 광주에서는 시민들에게 집단발포를 해 학살하고 잔혹하게 탄압했다는 주장이다.
전북평화와인권연대는 "윤석열을 비롯한 내란세력 7공수여단 등을 비롯한 군부대 동원에 더욱 엄정한 수사와 처벌이 필요하다"며 "우리 사회는 12.3 윤석열 내란사태처럼 군인의 총부리가 시민들과 헌정질서를 향하는 친위쿠데타와 같은 일이 더 이상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