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현대자동차는 전주지역에서 운행중인 수소시내버스 147대에 대해 전문 점검팀을 투입해 폭발사고 예방 등 정밀 안전점검을 마쳤다.
13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0일까지 12일 동안 전주지역에서 운행 중인 수소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시민안전을 고려해 집중 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에서는 타 지역에서 폭발사고 발생과 관련, 곧바로 수소시내버스 제작사인 현대자동차 전주하이테크센터와 대책 회의를 갖고, 전문 점검반(4개조 8명)을 편성했다. 이들은 각 회차지와 5개 운수업체 차고지를 방문해 전국 최초로 수소시내버스의 주요 부품과 시스템에 대한 진단을 진행했다.

특히 점검반은 수소연료공급 라인을 집중 점검했으며, 일부에서는 연료공급 라인을 잇는 연결 볼트가 수소버스 토크(조임 강도) 기준에서 아주 미세하게 풀려 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에 점검반은 이러한 미세누기가 발견된 17대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완료했다.
또한 수소전기버스에는 총 37개의 전기제어 유닛이 설치돼 있으며 그중 1개의 메인 유닛이 36개의 유닛을 통제하는데 이러한 유닛간 접촉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단순 사항이 발견된 3대의 버스에 대한 조치도 실시했다.
전주시는 이번 점검을 계기로 수소시내버스 대중교통 운영의 지속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자동차와 합동으로 수소시내버스 차량 안전을 위해 점검 주기와 점검방법 등에 관한 정밀관리 메뉴얼을 작성했다.
앞으로 전주시는 시내버스 운영주체인 운수회사의 정비인력의 수소버스 정비능력 향상을 위해 운수사 현장을 방문하거나 자동차 제작사에서 특별교육을 실시하는 등 상시 수소시내버스 안전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전주시·운수사·제작사 간 업무협약도 체결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주시는 타지역 수소시내버스 폭발사고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사고 원인 정밀조사가 마무리되면 결과에 따라 추가적으로 필요한 안전조치를 신속히 취할 예정이다.
최준범 전주시 대중교통국장은 “수소시내버스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수송수단의 탄소중립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시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수소시내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