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여수시의회는 9일 "정부는 무안공항 참사의 원인을 조속히 규명해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여수공항 이용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 시설물 확충 및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여수시의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를 계기로 여수공항의 안전문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시의회는 "특히 참사를 키운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콘크리트 로컬 라이저(방위각 시설)가 여수공항에도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항을 이용하는 지역민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여수공항은 로컬라이저가 무안공항보다 높은 지상 4m의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돌출되어 있어 항공기 충돌 시 그 위험성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또 "여수공항 활주로의 길이는 2100m로 무안공항의 2800m보다 짧아 비상 착륙 시 항공기의 오버런(이·착륙 시 활주로를 벗어나는 상황)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종단안전구역도 국토교통부 및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권고기준인 240m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으로 비상시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항공기 안전 위협 요인인 '버드 스트라이크' 문제와 여수공항 경영난 문제도 언급했다.
시의회는 "여수공항에서 발생한 '버드 스트라이크'도 지난 5년간 12건, 운항편수 대비 0.035%로 전국 14개 공항 중 7번째로 높은 수준"이라며 "현재 여수공항의 조류 충돌 예방인력은 고작 4명에 불과하고 조류 탐지를 위한 어떠한 시스템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고위험이 상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여수공항의 경영난도 안전태세를 확립하는데 저해요인이 될 수 있어, 이 또한 우려스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며 "여수공항은 동부권 87만 지역민의 유일한 하늘길로,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개최 및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33) 유치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준비하고 있어 국내·외 여객수요도 지속 증가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무안공항 참사의 원인을 조속히 규명해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여수공항 이용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 시설물 확충 및 개선책을 마련하라"며 "이와 함께 한국공항공사, 전라남도 및 여수시는 여수공항이 경영수지 개선을 통해 안전시설 관리 및 사고 예방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강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