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공단 이전을 반대하는 덕천리 주민들이 7일 제주도청을 항의 방문해 사업 철회를 촉구했다.
앞서 덕천리 주민들은 제주도청 관계자에게 오영훈 도지사 면담을 요청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제주도는 현재 제주시 화북동에 소재한 화북공업단지의 오염 물질 배출과 미세먼지 발생,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해 단지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후보지 총 6곳 중 덕천리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조천리는 지난해 주민들의 반대로 이전이 무산됐다.
현재 화북공업단지에는 입주 기업 210여 곳이 상주해 있으며, 약 1600여 명의 근로자는 근무하고 있다.
이날 도청을 항의 방문한 상덕천 주민은 “화북공단 덕천리 이전 검토 부지가 상덕천에 붙어 있고 1차 피해 지역으로 예상되는데 상덕천 주민들의 반대 의견은 무시되고 있다"며 상덕천 주민들의 의견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주민설명회 개최에 대한 절차적 문제도 지적했다.
주민들은 공단 이전 협의가 무산된 조천리의 경우 제주도는 주민설명회에 대한 정보를 미리 공개해 사전 공론화 과정을 거쳤으나, 덕천리는 주민설명회 개최에 대한 정보를 주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은 채 기습적으로 진행해 주민간 찬반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덕천리 한 마을 주민은 “살기 좋은 덕천리에 갑자기 화북공단이 이전 될 수 있다는 소식에 상덕천과 하덕천은 찬반으로 나뉘어 갈등이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화북공단 덕천리 이전 검토를 백지화해야 마을 공동체가 다시 회복된다"고 강조했다.
이화인 화북공단 이전 반대 비대위원장은 “공단이전 후보 부지는 제주에서 가장 자랑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이며, 게다가 멸종위기야생생물 1등급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이며 곶자왈"이라며 "지하수자원보존 1등급 지역이기 때문에 도민의 식수원이다. 백지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화북공업단지 이전에 필요한 부지는 약 30만~50만㎡ 규모로 예상된다.
제주도는 화북공업단지 이전이 연이어 난항을 겪으면서 차기 후보지 물색에 나설지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