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외환보유액이 5년 만에 최소 규모로 떨어졌다. 원화가치 하락이 이어지면서 환율 방어에 쓰인 결과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를 보면, 작년 1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156억 달러(약 611조7000억 원)였다. 전월 말(4153억9000만 달러) 대비 2억1000만달러가량 증가했다.
12월 말 기준으로 보면 2019년(4088억2000만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미국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는 와중에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외환당국이 원화 가치 방어에 나선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그럼에도 외환보유액이 증가한 것은 분기 말 효과로 금융기관 외화 예수금이 늘어난 데다 외환보유액 운용 수익도 더해진 결과라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미 달러화 강세로 인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 감소,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조치(환율 방어) 등에도 불구하고 분기말 효과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증가하고 운용수익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금융기관은 연말 국제결제은행(BIS)의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 계정 관리에 들어간다. 이에 더해 한은 외자운용원이 보유한 외환을 운용해 얻은 이익도 외환보유액에 더해졌다.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 추이를 보면, 유가증권이 3666억7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57억2000만 달러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은 147억1000만 달러로 집계돼 1억8000만 달러 감소했다.
반면 예치금은 252억2000만 달러로 60억9000만 달러 증가했다.
작년 11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로 평가됐다.
중국이 3조2659억 달러로 가장 많은 외환보유액 국가로 집계됐다. 일본(1조2390억 달러), 스위스(9251억 달러), 인도(6594억 달러), 러시아(6156억 달러), 대만(5780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4495억 달러), 홍콩(4251억 달러)이 뒤를 이었다.
독일(3863억 달러)은 한국 다음으로 외환을 많이 보유한 나라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