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시가 신생아 분만을 지원하기 위해 연간 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에도 관내 출산율이 1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오는 2026년 상반기 개원을 목표로 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사업의 타당성을 둘러싼 논란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3일 태백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출생아 수는 2022년 129명에서 2023년 93명, 2024년 94명으로 급감했다.
이 가운데 관내 산부인과에서 출산한 신생아는 2022년 10명, 2023년 5명, 2024년 7명에 불과했다. 이는 전체 출생아 중 10%도 안 되는 수준이다.
연간 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관내 산부인과에 지원하고 있음에도 대부분의 산모들은 의료 서비스와 시설이 우수한 대도시로 원정출산을 선택하고 있다.
원정출산을 한 산모 A씨는 “집안 가족의 권유로 대도시 산부인과에서 출산했으며, 인근 산후조리원에서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받았다”며 “지방 산부인과는 의료 인프라와 서비스 면에서 대도시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태백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60억 원(당초 50억원에서 10억원 증액)을 들여 지난해 9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을 착공, 올해 말 준공 후 2026년 상반기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백시 상장동 서학골에 위치할 공공산후조리원은 지상 3층, 연면적 930.90㎡ 규모로 건립되며, 산모실(10실), 신생아(15베드)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태백공공산후조리원은 아이키움센터와 연계 운영되며, 출산 전 교육부터 산후 회복, 신생아 건강관리까지 포괄적인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공공산후조리원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급감하고 있는 신생아 출산과 관내 출산을 기피하고 있는 산모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면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것은 물론 과도한 운영비도 태백시의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산후조리원 건립은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며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의료 인프라 개선, 의료진 확보, 청년층 유입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시의원 A씨는 “올해부터 신생아 출산이 90명 미만으로 급감하는 것은 물론 산후조리원이 개원하는 2026년에는 80명 미만 수준이 예상된다”며 “태백은 이용객이 인근 삼척산후조리원의 3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태백시 관계자는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기본 인프라 확충 차원에서 산후조리원을 건립하는 것”이라며 “교도소 등 대체산업 유치와 젊은층 유입을 위해서도 공공산후조리원은 필요하다는 판단”이라고 전했다.
한편 출생아 감소와 고령화 가속화로 도시 존립에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인근 삼척시의 사례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 반면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2016년 삼척의료원에 산모실 13실, 신생아실 15베드, 수유실, 찜질방 등을 갖춘 공공산후조리원을 개원한 삼척시는 2주간 산후조리원 이용금액 180만 원 전액을 지원(삼척시민 대상)하고 있다.

산후조리원 이용실적은 2021년 205명, 2022년 190명, 2023년 217명, 2024년 207명 등인 가운데 삼척시민은 60% 수준, 나머지 40%는 동해, 태백, 속초, 경북 울진지역 산모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척산후조리원 관계자는 “삼척의료원에서 산후조리원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 영양사 등 인력관리 효율성이 좋아 이용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며 “특히 산모와 신생아가 1인1실로 이용할 수 있는 점도 호평”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