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밤 급작스럽게 내려진 비상계엄의 선포 이후 전북에서도 긴박했던 6시간의 '긴장의 밤'이 이어졌다.
전북도는 3일 밤 11시30분 행정부지사 주재의 실국장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밤 10시30분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1시간 만이다. 이어 계엄사령관은 11시를 기해 정치활동 금지와 언론집회 등을 제한하는 내용의 계엄 포고령 1호가 발표됐으며 국회에서도 이에 대응한 비상한 움직임이 이어졌다.
이어 4일 0시에 전북도는 김관영 도지사 주재의 실국장 회의를 통해 '제1호 사태'에 따른 비상근무를 발령했다.
지방공무원 복무규정과 전북특별자치도 공무원 복무조례에 따르면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가 발생했거나 발생이 임박하여 긴장이 최고조에 이른 경우'제1호사태에 따른 비상근무를 발령할 수 있다.
같은 시간 35사단도 사단장과 참모 등이 위기조치반을 운영하고 전북경찰도 경계강화 지시에 따른 출동태세를 유지한 채 상황을 예의주시했다.
이어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요구 결의안이 재석의원 190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되자 오전 4시간20분쯤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형식으로 계엄해제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35사단과 경찰은 이날 새벽과 이른 아침 경계강화를 풀고 일상으로 복귀했다.
김관영 전북특별도지사는 간부회의에서 계엄해제 상황에 대해 "어제 밤 1979년 이후 처음 선포된 비상계엄으로 매우 혼란한 상황을 겪었다"면서 "새벽 비상계엄 해제가 공식적으로 발표된만큼 당혹감과 혼란에서 벗어나 다시 평온과 안정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도지사는 이어 공직자들을 향해 "행정의 최일선에서 도민들의 삶을 책임지고 있는 공직자로서 법과 원칙에 따라 공익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며 "도민들께 안정감을 드릴 수 있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