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차전지-바이오-방산 등 新산업 육성이 전북 성장전략의 핵심"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이차전지-바이오-방산 등 新산업 육성이 전북 성장전략의 핵심"

김종훈 전북 경제부지사 7일 전주대 미래융합대학 특강 '주목'

한때 국내 광역단체 중에서 '북(北)'자돌림이 '낙후벨트'로 간주된 시절이 있었다. 충북과 경북과 전북 등 '북'으로 끝나는 광역단체가 상대적으로 못사는 동네라는 뜻이었다.

하지만 최근엔 이야기가 달라졌다. 충북은 그야말로 상전벽해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고 경북 역시 1인당 지역총생산(GRDP)이 4624만원(2022년 기준)을 기록해 전국 평균(4505만원)을 넘어설 정도로 '후진'의 불명예를 벗었다.

이들 두 지역에 비하면 전북은 아직도 '낙후의 뒤안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가 7일 오후 전주대학교 자유관 201호에서 '전북 경제 성장 전략과 비전'이라는 특강을 통해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참석자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프레시안

그렇다면 전북이 획기적인 성장 모멘텀을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향후 과제는 무엇일까?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가 7일 오후 전주대학교 자유관 201호에서 '전북 경제 성장 전략과 비전'이라는 특강을 통해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참석자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전주대 미래융합대학이 주관한 이날 행사에서 전북의 경제상황과 문제점, 산업 현주소와 과제, 전북 경제 성장 전략 등을 1시간에 걸쳐 명쾌하게 설명한 김종훈 부지사는 "전북의 각종 경제지표는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12~16위의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어 이를 뚫고 나갈 돌파구가 필요하다"는 말로 강의를 시작했다.

전북의 지역내총생산은 2022년 기준 시 57조8000억원으로 17개 광역단체 중 12위를 턱걸이하고 있다.

이를 인구로 나눈 1인당 GRDO 역시 3246만원으로 전국 13위에 랭크돼 있으며 지난해 수출실적(71억 달러)은 전국 총수출의 고작 1.1%를 점유하며 13위로 밀려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의 '연평균 성장률' 역시 1.7%로 전국 평균(2.6%)보다 훨씬 낮은 '저성장지역'으로 축 늘어져 있다.

그나마 고용률이 올 7월 기준 65.1%로 전국 7위에 올라와 있어 위안이 되지만 이마저 비정규직 비율이 44.4%로 국내 최상위권을 형성할 정도로 고용의 질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일각에서는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취업자 비중을 말하는 '고용률'이 높은 것도 분모에 해당하는 15세 이상 인구가 줄어들며 자연스럽게 상향 조정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 전북 경제 전반의 지표가 암울한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행시 36회로 농림부(1993년)에 들어와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2019년)과 차관(2021년)을 역임했던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고위 공직자 출신답게 전북 산업의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날카롭게 해부했다.

제조업 비중이 21.7%(2022년 기준)로 낮은데다 고부가가치 산업 기반과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며 지역 내 주력산업이 없어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차산업의 경우 농어촌의 고령화가 심화돼 농업의 효율화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농업의 저(低)부가가치는 농촌의 인력난을 가중시키는 등 빈곤의 악순환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2차산업은 전국 1000대 기업 중에서 전북기업이 고작 8개에 불과할 정도로 앵커기업 부재현상에 시달리고 있다는 김 부지사의 냉철한 진단이다. ⓒ프레시안

여기다 2차산업은 전국 1000대 기업 중에서 전북기업이 고작 8개에 불과할 정도로 앵커기업 부재현상에 시달리고 있다는 김 부지사의 냉철한 진단이다.

이밖에 전북의 3차산업은 소규모 기업들의 과당경쟁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부족으로 고용흡수력이 떨어지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실제로 전북 3차산업의 사업체장 매출액은 전국 평균의 반토막(54%) 수준에 불과하며 고용인원은 전국 평균의 89% 수준에 머물러 있어 고부가와 고용을 모두 놓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로부터 2022년에 현직 제의를 받고 합류한 김종훈 부지사는 '민선 8기 도정'의 경제성장 전략으로 △핵심기업 유치 △신(新)산업 육성 △전북특별법 특례 활용 등을 강조했다.

기업유치의 경우 김관영 도정의 전반기 2년에만 12조9000억원의 투자협약을 맺었고 135개 협약기업이 1만4000명에 가까운 고용에 나설 예정이라는 주장이다.

신산업 육성전략으로는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과 △바이오 특화단지 추진 △전북형 방위산업 육성 △전북자치도 RE100 실현 등을 자세히 설명했다.

군산시 새만금 국가산단을 중심으로 하는 이차전지 핵심소재 공급기자 조성을 통해 100개의 기업을 유치하고 오는 2034년에는 누적매출 100조원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신산업을 육성해 나간다는 각오이다.

김종훈 부지사는 또 "국가 땅에 민원이 없는 새만금이 국내 방위산업 업체들로부터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며 "전북의 탄소와 수소 등 첨단소재를 특화한 '방산혁신클러스터' 구축 등 이른바 전북형 방위산업 육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전북의 적은 경제규모는 기업유치와 인구확대를 통해 해법을 마련해 나가고 성장동력 부족은 기업유치와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물꼬를 터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프레시안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카카오와의 협력을 통해 전주대 스타센터에 '전북 카카오 클라우드 디지털 혁신센터'를 구축하기로 하는 등 전북의 데이터산업 육성에도 팔을 걷어 부친 상태"라며 "이렇게 될 경우 AI기술 적용 서비스 도입에 용이하고 지역 관련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제품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전북의 적은 경제규모는 기업유치와 인구확대를 통해 해법을 마련해 나가고 성장동력 부족은 기업유치와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물꼬를 터나가고 있다"며 "앵커기업 유치를 포함한 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외국노동력 활용을 통해 전북의 획기적인 경제성장 전환점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부지사는 "행정주도의 성장은 한계점에 봉착할 수 있다"며 "경제는 기업이 이끌어 가는 것이기 떄문에 결국 전북 발전의 핵심은 '기업유치'로 귀결될 수 있어 이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특강에는 전주대 미래융합대학 재학생과 각계 인사 등 100여명이 대거 참석해 질문·답변의 뜨거운 토론 시간도 약 20분가량 이어졌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