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저(안구 내부의 깊은 곳) 영상을 AI로 분석해 안구 및 전신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경기도는 성균관대 ICT명품인재양성사업단(단장 추현승 교수)의 '안저영상기반 UFI, CFI 다중질병 진단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올 들어 3건의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급 저널에 게재됐으며, 2건의 국내 특허로 출원됐다고 29일 밝혔다.
성균관대 ICT명품인재양성사업단은 경기도 산학협력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수행 중이다.
세계 각국은 현재 망막 및 시신경 등 안저(안구 내부의 깊은 곳) 영상정보 분석을 통해 안구 질환은 물론 신체 전신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측하는 첨단기술 확보를 위해 경쟁하고 있다.
성균관대는 지난해부터 아주대병원, 삼성서울병원과 협력해 안저영상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또 교내 창업 기업인 스카이엑스(주)와 함께 AI 분석 알고리즘 고도화와 장비개발 등 상용화를 병행하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 기술은 안저 영상을 기반으로 10개의 안질환 진단과 15개의 신체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약 98%의 정확도를 보이고 있어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딥 러닝 기반 모델은 방대한 망막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훈련되어 전문가가 볼 수 없는 미묘한 패턴을 식별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안저영상 분석을 통해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변성, 녹내장, 망막 정맥 폐쇄 등의 안구 질환을 예측하거나 감지할 수 있고, 심혈관, 당뇨병, 만성 신장질환 등 전신 질환을 비롯해 나이, 성별, 흡연 상태 등 생체 예측, 뇌졸중 위험 평가 등 개인 건강과 잠재 위험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돼 예방 의료의 혁신적인 기술로 볼 수 있다.
추현승 성균관대 ICT명품인재양성사업단장은 “경기도 내 병원과 협력해 분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향상하고 감지 범위 확대 연구를 지속해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까지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다 포괄적인 진단 플랫폼을 완성하고, 원격 의료와 원격 모니터링 등에도 인공지능을 적용해 저소득층이나 의료 소외지역 주민들에게 예방 의료를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지난 1월 성균관대 및 아주대와 'AI기반 의료·바이오 분야 응용연구 지원사업' 업무협약을 체결, 응용연구과제를 산업 현장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도록 2026년까지 3년간 도비 총 4억5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