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폐업이나 정리해고, 사업 부진 등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비자발적 실직자'가 다섯 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청년층의 비자발적 실직 역시 빠른 속도로 확대했다. 고용침체 본격화 우려가 제기된다.
1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입법조사처와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비자발적 실직자는 123만7000명이었다. 전년 동월 대비 17만9000명(16.9%) 증가했다.
비자발적 실직자란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노동 시장적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이다. 가사, 육아, 심신장애, 정년퇴직, 급여 불만족 등 자발적 이유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포함되지 않는다.
비자발적 실직자는 올해 1월 2.3% 감소한 이후 2월(7만 명, 4.3%) 증가로 돌아섰다. 이어 3월 7만6000명(5.9%), 4월 8만2000명(6.9%), 5월 15만8000명(14.7%), 6월 17만9000명(16.9%) 등 5개월 연속 늘어났다. 증가폭도 계속 커지는 추세다.
청년층 비자발적 실직자도 증가세다. 지난 달 현재 15∼29세 청년층 비자발적 실직자는 총 22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4000명(17.8%) 늘었다. 3월(2000명, 1.1%), 4월(1만7000명, 8.2%), 5월(3만2000명, 16.5%)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 폭이 확대하는 흐름이다.
이전 직장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43.4%)과 건설업(34.1%), 정보통신업(42.3%) 등 일자리 규모가 큰 주요 산업 대부분에서 비자발적 실직자가 작년보다 늘었다.
내수의 영향을 받는 도매 및 소매업(33.7%), 숙박 및 음식점업(24.4%)에서도 비자발적 실직자가 증가했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비자발적 실직자도 21.7% 늘었다.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황정아 의원은 "정부는 경기가 회복세라며 자화자찬하지만, 실제 민생경제는 악화일로"라며 "추경이라도 편성해 비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