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에 사용되던 '문화재'라는 용어 대신 '국가유산'이라는 명칭으로 대체되고 기존의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 기념물, 무형문화재의 명칭 또한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변경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전북지역 자치단체 학예연구직 워크숍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한 전북 도내 학예연구직에 대한 증원 노력과 임기제에서 정규직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전북연구원 컨퍼런스홀에서 지난 5일 학예연구직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워크숍은 전북도 유산관리과가 주최하고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세넡가 주관해 마련된 자리다.
이 자리에서는 올해 5월부터 국가유산체제가 전환되면서 국가유산 분야의 커다란 변화의 물결 속에서 향후 전북자치도 유산관리체제를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야할 지를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이날 발표는 김승대 도 유산자원팀장이 '국가유산체제 전환에 따른 전북특별자치도 발전 방안'을 발표한데 이어 김종철 도 학예연구관이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의 현황과 향후 방안'을, 이민석 도 학예연구관이 '전북특별자치도 유형유산의 현황과 향후 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 황지애 고창군 학예연구사가 '전북특별자치도 공립박물관의 현황과 향후 방안'을 발표한데 이어 김철배 임실군 학예연구사와 차상민 전주시 학예연구사, 장기재 완주군 학예연구사가 각각 임실과 전주, 완주의 문화유산 현황과 향후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첫번째 발표에 나선 김승대 팀장은 국가유산체제의 대전환과 주요 법체계의 변화 내용을 안내한 뒤 전북지역의 국가유산 현황과 성과 등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특히 최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고 남원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 등은 학예연구직원들의 각고의 노력이 깃들어 있는 성과임을 강조했다.
김승대 팀장은 이어 "전북의 국가유산 등이 1000여점을 넘어서고 있으나 도내 시군의 학예직은 임기제 53명 등 67명에 불과하다"며 "다양한 신규 사업에 맞춰 학예직의 적극적인 증원이 우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북도의 학예사를 신규 채용할 때 경력직의 시군 학예사를 임기제로 우선 채용한 뒤 향후 점차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발표 이후에는 전북특별자치도 유산관리과 김홍표 과장을 좌장으로 종합토론의 장이 펼쳐졌다.
지역 유산분야의 발전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이에 대한 도 차원에서의 지원 방향성 등 향후 전북자치도 국가유산분야 발전의 새로운 청사진과 국가유산체제 전환의 선제적인 대응방안 등이 활발하게 모색되었다.
김홍표 유산관리과장은 "전북특별자치도의 학예직들이 한자리에 모여 전북자치도 유산분야의 발전과 미래에 대하여 고민하는 기회가 됐다"며 "앞으로 새롭게 나아갈 국가유산체제에서 전북자치도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이러한 모임과 화합을 활성화 시키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