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바이오산업 인프라와 기술역량이 극대화된 '전북 최적지론'이 설득력을 더해가고 있다.
26일 전북자치도와 익산시,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주 국무총리 주재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열고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선정 결과를 빠르면 27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 특화단지' 공모에는 전북(익산·전주·정읍)을 비롯한 경기 고양과 수원·성남, 충북 오송 등 5곳이 오가노이드 분야에 신청서를 낸 상태이다.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는 경북(포항·안동)을 비롯한 인천 송도, 대전 유성, 경기 시흥, 전남 화순, 강원(춘천·홍천) 등 6곳이 도전장을 내는 등 국내 11개 광역·기초단체가 무한경쟁의 열을 뿜고 있다.
바이오 특화단지에 지정되면 인프라 구축과 연구개발 사업부터 국공유재산 사용료 면제와 인·허가의 신속 처리 의무화, 용적률 최대 1.4배 상향, 수출판로 개척, 정부 R&D 예산 우선 배정, 예비타당성조사 특례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지자체마다 사활을 건 막판 유치전에 돌입하고 있다.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제16조는 '수도권 외의 지역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어 비(非)수도권 6곳 중에서도 바이오와 관련한 '산·학·연 3각 인프라'가 탁월하고 충북과 전략적 제휴에 나선 전북의 가능성이 타진되고 있다.
우선 전북은 바이오산업과 관련한 공공 연구기반이 탁월하다는 분석이다. 전북연구개발특구에 있는 18개 혁신기관을 포함한 우수 역량의 국공립 연구기관이 27개소나 운집해 있다.
이들 기관이 보유한 분석과 생산·시험 등의 각종 연구장비만 해도 4100여종에 달하며 출연연구기관과 지자체 등에 3100여명의 전문 인력풀도 보유하고 있다.
전북 바이오기업은 지난 2019년 이후 연평균 4.8%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사업체 수가 2022년에 이미 2200개를 넘어섰으며, 종사자수도 2만8000명에 육박하고 있다.
전북의 바이오기업 연평균 증가율은 같은 기간 중 전국의 증가율(2.4%)에 비해 2배에 달하는 등 '식품수도' 전북이 새로운 바이오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북은 국가 바이오산업의 전략적 집적지로도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다. 지역에 주요 8개 과학기술 집적단지가 존재하며 해당 클러스터별로 과기부와 중기부, 산업부, 농림부 등 다양한 관리부처가 존재한다.
전북의 바이오산업 인프라는 25일 익산 원광대에서 열린 '제1회 전북포럼'에서도 국내외 인사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임문택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 본부장은 이날 발제에서 "전북은 공공연구와 기업, 혁신클러스터, 기술역량 등의 측면에서 바이오산업 인프라가 탁월하다"고 강조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와 정헌율 익산시장은 도정과 시정의 최대 현안으로 '바이오 특화단지 유치'를 설정하고 막판 총력전을 경주하고 있으며, 전북농협과 바이오 관련 기업들도 전북 지정 당위성을 설파하고 있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익산시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기존 농업 중심에서 그린·레드바이오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며 "전북자치도와 익산시 국내 최대 '바이오 메카'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막판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민들은 "국가첨단전략산업은 전략적으로 비수도권의 기술역량과 인프라를 중심으로 배치해야 할 것"이라며 "1인당 지역총생산(GRDP) 기준 시 전국 14위에 턱걸이하는 전북에 새로운 희망을 주는 정부의 전략적 지정을 기대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