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역사적으로 2017년 포항 지진보다 더 큰 피해가 발생한 기록이 있다."
"전라북도에도 포항 지역과 같이 지진 피해에 취약한 연약한 지반을 갖고 있는 지역이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라북도는 한반도 내에서 상대적으로 지진에 안전하기는 하나 여전히 지진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진 대비가 필요하다."
전라북도가 지난 2017년 '지진 대응방안 우선지역 및 향후 지진 대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전북대학교 연구팀에 의뢰해 마련한 '전북 지진환경 분석 및 대응 방안 보고서(2017년)는 이처럼 "전북에서도 지진 피해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서를 내 놓았다.
보고서에서는 "2017년 당시에도 3.9 규모의 계기 지진이 익산과 무주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었지만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기초연구인 활성단층 연구와 지진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연약지반의 확인 등의 연구가 매우 미진하다"는 점을 우려했다.
또 "제한된 예산으로 지진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지진대비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지역과 대책 제시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활성단층은 단층 중 앞으로 움직여서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단층을 의미하는데 전북지역에는 3개의 지역에서 연령측적을 통해 활성단층이 확인됐고 그 중 익산지역에 나타나는 함열단층도 충남지역의 십자가단층과 같이 활성단층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히고 있다.
보고서는 또 지역별로 지진 취약도를 분석했는데 "전북 군산과 익산,김제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부에서 서부로 이동할 수록 취약설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과 인접한 지역의 지진파 증폭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군산과 김제 지역에서 1.5 이상의 증폭 비율이 나타나고 있어 새만금 매립지의 지진 취약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12일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그동안 우선순위에서 밀려 단층조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전북지역에 대한 단층조사가 서둘러져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고 전북특별자치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는 전북과 새만금 일대에 대한 단층조사와 관련 연구를 서둘러 줄 것을 행안부에 요청했었다.
이에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해양수산부, 기상청 등 관계부터는 3단계인 2027년 이후 계획이던 부안지역의 조사를 올해 하반기로 앞당겨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부안군과 인근 지역을 현재 진행중인 단층조사에 추가하고 해수부는 서남해 해역(부안앞바다)의 해저단층 조사 시기를 2027년에서 2025년으로 앞당기기로 했다.
기상청도 2032년 조사 예정이던 전라 내륙의 지하단층을 올 하반기로 앞당겨 2036년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그동안 지진이 빈번하지 않던 전북 부안군과 인접 지역의 지표.해저.지하 단층을 동시에 조사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진발생 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자력안전위원회도 2022년부터 전남 영광군 한빛원전 인근 지하 단층을 조사하고 있는데 행안부와 기상청의 단층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원전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2016년 경주와 2017년 포항 지진을 계기로 지진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발생빈도와 인구밀집도 등을 따져 전국을 4~5개 권역으로 나눠 차례대로 단층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현재 수도권과 충청권 단층을 조사 중 였으며 전북은 우선순위에 밀려 2027년 이후 조사 예정으로 있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