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동맹휴교 그 후…현대사의 굴곡 닮은 '주산보통학교 1기생'들의 삶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동맹휴교 그 후…현대사의 굴곡 닮은 '주산보통학교 1기생'들의 삶

[주산보통학교 동맹휴교④] 인근 학교로 퍼져 나갔던 '맹휴'

올해로 개교 100주년을 맞는 전북자치도 부안군 주산면의 주산초등학교. 1924년 54명이 입학하면서 문을 연 주산공립보통학교는 한때 학생수가 2000명에 육박하는 지역의 거점학교였으나 농어촌지역 거주인구 감소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2024년 현재 9명의 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있는 소규모학교가 되었다. 그나마 주산면에서는 유일한 학교다. 개교 100주년을 앞둔 이 학교가 특별히 관심을 받는 것은 1926년, 개교 3년차에 발생했던 학생들의 '동맹휴교(同盟休校)사건' 때문이다. 10대 초반의 어린 학생들이 그해 6월부터 7월 사이에 세 차례나 집단적으로 등교를 거부했던 이 사건은 지역사회와 교육계 등에 적지 않은 파장이 미쳤음에도 아직까지 제대로 전말이 규명되지 못한 채 후손들의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전설같은 이야기일 뿐이다.

<프레시안> 전북취재본부는 당시의 기록과 후손들의 증언, 지역 주민들의 구술 등을 토대로 동맹휴교 사건을 재조명하고, 98년이 지난 오늘날 왜 그들의 동맹휴교와 같은 의거가 기억돼야 하는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1926년 여름을 달궜던 주산보통학교 학생들의 동맹휴교 사건은 참가했던 학생들에 대한 대대적인 처벌로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다.

적어도 겉으로는 그랬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훨씬 치열한 응집과 갈등, 확산이 있었다. 주산보통학교의 동맹휴교는 인근 학교에 파문을 전달하는 동심원과 같은 구실을 했다.

중외일보의 1928년 6월15일자 보도에 따르면 주산면 인근의 백산면에서 발생한 사건을 '백산공보교 맹휴단행'이라는 제목 아래 1단 기사로 전하고 있다.

전북 부안군 백산공보교 보습과 생도들은 지난 6월8일부터 일제히 동맹휴교를 하얐는바 이제 그 맹휴하게 된 원인을 드르면 동교 선생으로잇는 엄모씨의 행동에 대하야 늘 불평을 품고 잇다가 당일에 와서 드듸어 맹휴를 단행 하얏다더라(부안)

이어 줄포공립보통학교에서도 같은 해 여학생들이 동맹휴교를 단행했는데 이는 주산보통학교와 성격이 다르지만 매우 깨어있었던 당시 여학생들의 일면을 볼 수 있는 사건이었다.

전북 줄포공립보통학교 녀자 삼사학년 생도의 동맹휴학사건은 긔 보와 갓거니와 그 후 소식을 들은즉 말광(末廣)서무과장이 부안군청으로나와 교장 학부형사이에 삼각회의를 하였스나 효과를 엇지못하고 거월 이십일개최하랴던 학부형회의난 이십칠일에 쥴포청년회관에서 열고 협의한 후 김동준외 5인을 실행위원으로 선정하야 학교로 고교(高橋)교장을 방문하고 타협한 결과…

주산보통학교 동맹휴교에 참가했던 학생들은 그 후 어떻게 됐을까.

앞서 언급했듯이 참가학생들 중 주모자급인 김종태와 남궁진 등의 행방은 더이상 주산보통학교 학적부에서 흔적을 발견할 수 없다.

당시 주산보통학교에서 작성해 관리·보관하고 있던 1회 졸업생들의 '졸업후의 상황(卒業后之狀況)'을 보면 학생별 개개인의 졸업후 5년간 진로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기록과 지역에 남아 있는 후손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1926년 주산보통학교 동맹휴교 가담자들의 행적을 정리해본다.

먼저 동맹휴교가 발생했을 때 교장으로 있었던 오가와(小川傳三郞)교장은 이듬해 3월 주산보통학교를 떠나 무주적상보통학교로 자리를 옮기고 그 자리에 흑석묘태랑(黑石卯太郞)이 부임한다.

무기정학을 받은 유일한 학생이었던 김종두는 주산보통학교를 마친 뒤 부안보통학교로 편입해 5, 6학년을 마치고 고창고보로 진학해 졸업한다. 이어 졸업 5년차에는 송도고보(松都高普)에 진학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김종두의 외손인 오문근(54·서울 노원구)씨는 "어린시절 외할아버지가 서울 우리집에서 거주하셨는데 그 때 들었던 이야기가 아직도 귀에 생생하다"고 전했다.

그는 외할아버지가 일제강점기에 교사로 재직하면서 생활이 어려운 독립유공자들의 자녀들에게 도움을 줬는데 나중에 독립이 된 후 그 당시 도움을 받았던 일부 학생들이 외할아버지를 좌익으로 몰아 큰 고초를 겪었다고 들려줬다.

▲김경철과 그의 아들 김종백 ⓒ후손 제공

김경철은 졸업 이듬해 부안보통학교로 진학한 뒤 졸업 3년차에는 줄포공립보통학교 재학으로 기록됐으며 이후 가업(家業)을 잇고 있다고 기록돼 있다. 김경철은 돈계에서 한약방을 열어 평생의 업으로 삼아 왔으며 주산공보 동창들과의 만남을 지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맏아들인 김종수(87)씨는 "선친의 보통학교 친구들이 집에 놀러 오시면 어린 시절 만세운동을 했던 당시를 회고하며 감회에 젖곤 했다"고 회상했다.

학창시절 우수한 성적을 보였던 김영태(金永泰)는 주산공보를 졸업한 뒤 고부공보로 진학했으며 졸업 3년차에는 서울 혜화동의 남대문상업학교(현 동성고등학교 전신)에 입학한다. 2년간 수학한 김영태는 1932년 순창금융조합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김영태는 일제가 패망한 뒤 1946년3월부터 이듬해 6월말까지 주산면장을 지내면서 돈계에서 한약방을 하던 김경철의 집에 자주 놀러갔었다고 한다.

이순근(李純根)은 졸업 3년이 되던 해에 면사무소 서기로 근무하고 있다고 기록돼 있다. 이순근은 그 길로 계속 공직에 있었으며 김영태의 전임 주산면장으로 짧게 근무했었다.

그는 광복 후 좌우익이 대립하던 혼돈의 시기에 좌익으로 몰려 주산면 율포(밤개)에서 우익들에게 피살을 당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당시 일본으로 건너가 꿈을 키우려던 졸업생들도 있었다.

김판철, 최상기, 최판암 등은 졸업 후 5년차에 '내지(內地)'즉 일본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돼 있다.

1회 졸업생들 가운데 가장 연장자인 김판철(1911년 1월2일생)은 부서공립보통학교(상서면 통정리에 위치했었음)를 다니다 주산공보로 전학했다. 일본어에 능통했던 김판철은 주산공보를 졸업한 뒤 줄포공보에서 학업을 마치고 졸업 5년차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기술을 배우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간 김판철은 일본인 여성을 만나 귀국했으며 두 딸을 얻으며 행복한 가정을 꾸렸으나 1948년 전국을 휩쓴 콜레라로 사망했다. 이후 일본인 부인은 두 딸을 데리고 일본으로 건너갔으며 간혹 연락이 닿던 인연도 6.25전쟁이후 끊기고 말았다.

김판철의 생질인 김종성(69·서울 강서구)씨는 "큰아버지의 가정사가 비참했던 한국의 현대사와 비슷하다"면서 "주산공립보통학교와 관련된 자세한 내막은 그동안 가족들도 잘 알고 있지 못했다"고 말했다.

최상기는 주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보습과에서 1년을 더 배운 뒤 졸업 4년차에는 일본 히로시마에, 5년차에는 내지에 있다고 기록돼 있다.

▲젊은 시절의 최병기 ⓒ후손 제공

최재홍 면장의 아들인 최병기(崔秉基)는 졸업후 특별한 활동사항이 기록되어 있지 않고 1960년에 주산면의회 의장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최병기의 아들 최영렬 목사는 2023년 8월 국가보훈부 전북동부보훈지청을 찾아 아버지의 독립유공자 활동을 근거로 포상 신청을 마친 상태다.

현재 국가보훈부에서는 심사가 진행중이며 이르면 올해 광복절을 전에 포상 여부가 확정될 예정이다.

▲청년시절의 신춘식ⓒ

일제강점기 초기 주산면장을 지낸 신용우 씨의 아들인 신춘식(申椿植)은 주산보통학교를 마친 후 인근 줄포공립보통학교로 전학했으며 14회로 졸업을 한 뒤 집에 머무르면서 독서회와 야학활동 등의 계몽운동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20대 후반인 1939년에는 동아일보 부안군 주산분국장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벌였으며 좌우익의 대립이 극심하던 1940년대 후반 좌익계열 운동에 앞장섰다. '부안 3.22사건'에도 적극 가담한 신춘식은 6.25가 발생하자 변산으로 들어가 빨치산 활동을 했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한편 그의 형인 신규식(申奎植)은 줄포보통학교를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후쿠치(福知)중학과 와세다(早稻田)대학 정경과에서 공부한 뒤 돌아와 농무부 농산국 총무과장, 농경국 농경과장, 내무부장관 비서실장, 중앙관재청장 서리, 3·4대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다. <끝>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대홍

전북취재본부 김대홍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