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시대 왕성(王城)과 도성(都城)의 실체를 파악하기까지는 아직은 부족한 듯 합니다."
이동희 인제대 교수는 14일 '2024 국립김해박물관 가야학술제전'에서 이같이 피력했다.
이 교수는 "가야가 도성을 조영하는 시기인 5∼6세기대에는 백제와 가야는 긴밀한 교섭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삼국시대에 중국 남조와 가장 교섭을 많이 했던 나라가 백제라는 점에서 가야는 백제를 통해 중국 도성에 대한 간접적인 정보를 얻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또 "백제도 중국 도성을 그대로 구현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면서 "백제보다 영역과 국력이 훨씬 약한 가야 여러 나라가 그대로 수용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가야 여러 나라가 백제와 중국 남조 도성에 대한 직·간접적인 인식을 했더라도 그 수용 여부는 현지사정에 따라 달랐을 것이기에 남조의 도성이 가야의 도성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은 미약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교수는 "가야는 백제와 같이 200년 이상 도성을 조영한 경험을 쌓지 않았다"며 "가야가 직·간접적으로 중국 남조의 도성을 인지하였더라도 그것은 전체적인 모습이 아닌 부분적인 속성만 변용된 채 채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즉 가야에서는 중국·백제의 도성을 원용했겠지만 현지에 맞추어 더 축약된 형태였을 것이다는 것.
이 교수는 "가야는 중국(남조)에 비해 공간적으로 매우 제한된 여러 소국으로 구분되어 있다"면서 "가야 도성을 중국의 고대 국가에 직접 비교하기에는 그 규모면에서 턱없이 미약하다. 따라서 소규모·초보적인 도성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종래 가야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연구는 고분에 치우쳐 왔다"며 "가야의 왕성이나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연구는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 왕성과 생활유적에 대한 기획발굴조사가 활성화되어야만 가야사의 입체적인 복원이 가능할 것이다. 즉 도성제의 형성과정과 성 내외의 공간활용 방식을 염두에 둔 장기적인 학술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희 교수는 "가야는 호남 동부지역까지 포함하면 최대 20여개 소국(小國)에 이른다"고 하면서 "지금까지 확인된 가야 왕성보다 앞으로 밝혀야 할 가야 왕성이 더 많다는 점이다"고 하면서 "향후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더 많은 가야 왕성을 찾아야 하고 그 구조를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