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10대 초등학생에 대한 감시·사찰 여부까지 파악한 일제의 치밀함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10대 초등학생에 대한 감시·사찰 여부까지 파악한 일제의 치밀함

[주산보통학교 동맹휴교②] “조선인 교육은 조선인 본위로” 외침

올해로 개교 100주년을 맞는 전북자치도 부안군 주산면의 주산초등학교. 1924년 54명이 입학하면서 문을 연 주산공립보통학교는 한때 학생수가 2000명에 육박하는 지역의 거점학교였으나 농어촌지역 거주인구 감소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2024년 현재 9명의 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있는 소규모학교가 되었다. 그나마 주산면에서는 유일한 학교다. 개교 100주년을 앞둔 이 학교가 특별히 관심을 받는 것은 1926년, 개교 3년차에 발생했던 학생들의 '동맹휴교(同盟休校)사건' 때문이다. 10대 초반의 어린 학생들이 그해 6월부터 7월 사이에 세 차례나 집단적으로 등교를 거부했던 이 사건은 지역사회와 교육계 등에 적지 않은 파장이 미쳤음에도 아직까지 제대로 전말이 규명되지 못한 채 후손들의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전설같은 이야기일 뿐이다.

<프레시안> 전북취재본부는 당시의 기록과 후손들의 증언, 지역 주민들의 구술 등을 토대로 동맹휴교 사건을 재조명하고, 98년이 지난 오늘날 왜 그들의 동맹휴교와 같은 의거가 기억돼야 하는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산공립보통합교의 설립과 신교육의 도입

주산공립보통학교는 신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주민들과 전통교육을 고집하는 완고한 양반들 사이의 대립 속에서 1924년 9월1일 정식으로 개교한다.

개교 당시 입학생은 54명이었다.

학생들은 1911년부터 1917년 사이에 태어나 입학당시 연령은 8~13세에 해당됐다.

이들 가운데 대부분은 서당(書堂)에서 적게는 몇 개월, 많게는 2~4년간 수학했으며 일부는 사립학교나 인근 공립보통학교에서 전학을 온 경우도 있었다.

남학생들이 대부분이었고 아주 극소수의 여학생들도 그 무리에서 함께 교육을 받았다.

이들은 학교에서 일본어를 국어로 배우고 별도로 '조선어'를 공부해야 했다. 또한 고학년의 경우 '한국사'가 아닌 '일본역사'를 정규과목으로 수학했다. 일부 양반들이 신학문에 반대했던 이유다.

일제는 '동화교육'이라는 명목으로 한국민족과 문화를 왜곡하거나 축소, 과장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교과과정속에서도 한국어와 한국역사, 한국지리 과목을 없애거나 시간수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일본어와 일본역사의 시간수를 늘리는 방식을 채택했다.

한국역사의 경우 일본역사에 편입해 매우 소략하게 가르쳤다. 실제로 보통학교 교과서 상·하권 338쪽 가운데 한국사와 관한 부분은 21쪽에 불과했고 중등과정에서도 총 190쪽 가운데 최대 6쪽에 불과했다.

이같은 교육현실 속에서 1926년 6.10만세시위운동 때 나타난 격문이나 구호를 보면 '조선인 교육은 조선인 본위(本位)'라거나 '보통교육은 의무교육으로', '보통학교 용어는 조선어로' 등이 눈길을 끈다.

또 당시 여러 학교들의 동맹휴교 때 학생들이 내세운 요구조건이나 진정서 등을 종합해보면 △조선역사를 가르칠 것 △교내 조선어 사용 △학생회의 자치허용 △노예교육의 철폐 등으로 그 성격이 분명해 진다.

현재 주산보통학교의 동맹휴교와 관련해 전후 사정을 이해할만한 학생들의 요구조건이나 발생원인, 진행상황 등에 대한 자료는 매우 빈약하다.

부모의 재산실태·학생들 동향 파악도 꼼꼼하게

'학교 연혁기'와 1회 졸업생들의 학적부에 적힌 내용이 파악된 자료의 전부여서 대체로 전국적인 상황에 맞춰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당시 주산공립보통학교 1회 졸업생들의 학적부는 모두 35장(34명, 졸업생 중 김옥선(金玉善)의 학적부가 2부)이다.

▲1920년대 당시에 사용하던 보통학교 학생들의 학적부 일부. 보호자의 재산정도를 기록하고 감찰의 여부 등을 기록하는 란이 눈길을 끈다. ⓒ

당시 학적부에는 학생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입학년도와 졸업일, 보호자의 주소와 이름, 직업, 아동과의 관계, 학업성적(수신, 국어, 산술, 조선어, 일본역사, 지리, 이과, 도화, 창가, 체조, 재봉, 농업, 한문, 품행 등), 재학중 출석 및 결석, 신체상황(신장, 체중, 흉위, 영양, 척주, 시력, 색약, 안질, 청력, 이질, 치아, 기타 질병의 이상, 감찰의 필요 여부) 등이 기록돼 있다.

눈길을 끄는 점은 보호자의 재산 상태에 따라 '초빈(稍貧), 빈(貧), 중(中), 부(富)'등으로 분류해 기록했으며 어린 학생들이었지만 '감찰의 필요여부(監察の要否)'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한편 학적부의 맨 왼쪽에는 비고란이 있어 동맹휴교에 가담한 사실이 꼼꼼하게 기록되어 전한다.

남아있는 학적부 35장 가운데 비고란에 동맹휴교에 가담한 기록이 있는 사례는 모두 26건(명). 무기정학 처분을 받은 1명(김종두)과 23일간의 유기정학 처분을 받은 25명을 확인할 수 있다.

무기정학 처분을 받은 김종두(金種斗)의 학적부를 살펴보면

'同學年 金種泰(동학년 김종태)의 弟(제)로, 大正十五年七月七日 同盟休校 主謀(동맹휴교 주모)로 無期停學(무기정학)에 處分(처분). 同七月十五日 解除(해제)'

라고 기록되어 있다.

학교연혁지에서는 5명이 무기정학을 받았다고 했으나 기록으로 남은 사례는 김종두가 유일하다. 또한 유기정학 처분자 31명 가운데 6명의 학적부는 확인을 할 수 없다.

즉 동맹휴교에 가담한 36명 중 10명이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거나 퇴학 등으로 학교를 중도에 그만 둔 것으로 추정된다.

김종두의 사례를 보면 그는 같은 학년에 형인 김종태와 같이 주동자로 모의한 것으로 나오지만 김종태는 주산보통학교의 기록에서는 발견할 수 없고 인근 줄포보통학교의 학적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아마도 동맹휴교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함께 받은 뒤 전학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의 주산초등학교 교정 모습. ⓒ

주산보통학교 학생들은 1926년 6월과 7월7일, 7월9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순종황제의 인산일을 기해 전국적인 애도 분위기 속에 반일 감정의 분출 △조선인에 대한 차별과 일본인 교사들의 조선민족에 대한 폄훼 △보통학교 아동에 대한 일본인 교사들의 학대, 폭력 △독서회나 야간학교를 주도한 선배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항일 의식 등의 이유로 동맹휴교를 단행한다.

학적부 상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정15년 7월9일 동맹휴교'와 관련하여 23일간의 정학처분을 받았다고 기록돼 있으나 앞에서 언급한 김종두의 학적부에만 '7월7일'로 기록되어 있어 여러가지 가능성의 여지를 남긴다.

아마도 1926년 6월과 7월7일의 동맹휴교는 일부 주모자급 학생들만 가담한 소규모의 동맹휴교였을 가능성이 높고 7월9일에 이르러서야 36명이 참여하는 집단적인 등교거부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10대 초반의 '동맹휴교' 가담자들…그들은 누구?

역설적이지만 당시 학적부에 학생들의 '동맹휴교' 가담사실과 처벌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이 일제 당국으로서는 이들을 관리하거나 감시하기 위한 수단이었겠지만 오히려 기록이 부족한 지금에 와서는 '의거의 증거'기록이 되었다.

주산보통학교 1회 졸업생 가운데 학적부의 기록상에 '동맹휴교'에 가담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김두성(金斗成, 1911년생) △이순근(李純根, 1911년생) △강옥석(姜玉石, 1912년생) △김기태(金基泰, 1912년생) △최상기(崔相基, 1912년생) △한종남(韓從南, 1912년생) △김형기(金炯基, 1913년생) △채만석(蔡萬錫, 1913년생) △이병철(李丙喆, 1913년생) △신춘식(申椿植, 1913년) △유인적(柳仁迪, 1913년생) △김종곤(金種坤, 1913년생) △이원상(李元常, 1914년생) △김종두(金種斗, 1914년생) △김경철(金炅喆, 1914년생) △김갑수(金甲洙, 1914년생) △김영태(金永泰, 1914년생) △정순열(鄭順烈, 1914년생) △최관열(崔瓘烈, 1914년생) △김형준(金炯俊, 1915년생) △정수환(鄭水煥, 1915년생) △채구묵(蔡亀默, 1915년생) △백남루(白南婁, 1915년생) △장두식(張斗植, 1915년생) △최병기(崔秉基, 1916년생) △유광적(柳光迪, 1917년생).

졸업생 학적부 가운데 동맹휴교에 가담하지 않은 경우는 △동맹휴교 이후에 (편)입학한 경우 △교사의 자녀인 경우 △가사 사정 또는 이유 불명의 경우 등이 있다.

이들의 나이는 아홉살로 가장 어렸던 유광적부터 열다섯 살인 김두성과 이순근까지 고르게 분포했다.

학생들 상당수는 입학 전에 다른 공립학교나 사립학교 또는 동네 등지의 서당에서 사전 수학을 했기 때문에 지금과 달리 다양한 나이의 학생들이 서로 어울릴 수 있었다. <계속>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대홍

전북취재본부 김대홍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