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팜 도입'과 관련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의 농가 65%가량은 부정적 의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말 익산시에 제출한 '익산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용역보고서에서 14일 밝혀졌다.
익산시 관련 산업의 미래 비전을 수립하고 세부 추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2023~2027년)'에서 미래 농식품산업의 기반조성과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 수단으로 스마트팜 농업 확산을 명확히 제시했다.
앞서 농축식품부는 2022년 10월에 '스마트 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을 통해 민간 중심 농업 생산의 30%를 스마트 농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익산시 농가(344개)들의 스마트팜 도입 의향은 35% 농가들만 긍정적 의향을 갖고 있을 뿐 나머지 65% 이상 농가들은 대부분 부정적 의향을 내비쳤다.
부정적 의향 농가 중에서도 "스마트팜을 전혀 도입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농가 비율이 34%로 나타났다.
스마트팜 도입 시 우려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투자비용 대비 낮은 성과'를 가장 큰 부담으로 응답했다.
보고서는 "스마트팜 도입에 따른 설치와 시공비용 등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것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크다"며 "이에 비해 농산물 판매수입 등 농업소득이 상대적으로 작아 투자비용의 회수기간이 긴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정부아 지자체들은 농가들의 불확실성 해소와 경험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팜 시범사업과 임대형 단지 등을 조성해 스마트팜 도입 의향이 높은 농가들을 유치해야 한다"며 "초기 설치비 부담 없이 스마트팜을 일정 기간 운영해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관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또 시공업체의 사후관리 부족에 대한 우려와 스마트 기자재의 잦은 고장과 기자재의 낮은 호환성 등으로 농업인들이 원하는 적기 적소에 필요한 사후관리 대응은 정부 차원의 표준화와 기가재 성능향상 연구개발(R&D) 확대를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익산지역 농가들은 스마트팜을 도입함으로써 '노동력 절감'을 가장 크게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농촌 인력 부족과 농가 고령화에 기인한 것으로, 스마트팜 도입에 따라 자가노동 투입시간은 물론 고용노동을 절감해 경영비를 줄이고 농가 소득 증진에 나설 수 있음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