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군은 17일 서울 신라 호텔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시상식에서 수소 산업 도시 부문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다.
![](/_resources/10/2024/04/17/2024041713163517853_l.jpg)
지난해 신규 국가 산단 후보지 지정 이후 정부에서는 지난 2월 14일 울진 원자력 수소 국가 산단을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군은 지난달 26일에는 입주희망 기업인 GS건설 ·롯데 케미칼·GS에너지·삼성E&A·효성중공업·비에이치아이와 입주 협약을 체결하는 등 오는 5월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를 목표로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신한울 3,4호기를 포함, 향후 10기의 원전을 보유하게 된 울진군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다 원전 보유’ 지역으로 지난 40년 간 국가 에너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원자력 산업을 적극 지향해 왔다.
이번 정부 국정 과제에도 포함된 원자력 수소 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 함 따라 탄소 중립 시대에 지속 가능한 국가 발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자력의 열과 전기를 활용, 생산 되는 원자력 수소는 높은 경제성 과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없어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에너지로, 미국,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에서 연구 개발이 한창이다.
울진 원자력 수소 국가 산단에는 국내 수소 관련 대기업을 비롯해 소부장 제조업체와 연구 시설 등이 집적 될 예정이며, 수소 생산 특화 와 더불어 저장·운송·활용 등 수소 전주기 산업 생태계가 조성되어 탄소 중립 시대 핵심 과제인 국가 수소 산업을 울진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국가산단 조성에 총 사업비 4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46만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며, 경제적 파급효과 17조원, 고용유발효과 3만 8천명이 예상됨에 따라 지역일자리 창출, 인구유입 등 지역에 희망과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손병복 군수는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은 울진 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탄소중립 시대를 극복해 나갈 대안이 되어줄 것이다”라며“지속적인 노력과 혁신을 통해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더불어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