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내 초등학교 73% 참여… 초1 희망 학생 매일 2시간씩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경기도교육청은 19일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상반기 늘봄학교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하는 975개 학교 명단을 공개했다.
늘봄학교는 안전한 학교 공간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해 학생의 성장 및 발달을 위해 제공하는 종합적 교육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초등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결합한 형태로 운영된다.
![](/_resources/10/2024/02/19/2023061517190952661_l.jpg)
이날 명단이 공개된 ‘늘봄학교 프로그램 운영 집중 지원교’는 상반기 늘봄프로그램 운영을 희망한 곳으로, △용인 85곳(81.7%) △화성오산 82곳(63.6%) △수원 81곳(82.7%) △고양 75곳(83.3%) △구리남양주 69곳(83.1%) △성남 69곳(95.8%) △부천 51곳(54.3%) △안양과천 47곳(100%) △광주하남 44곳(77.2%) △시흥 42곳(84.0%) △김포 41곳(87.2%) △평택 41곳(63.1%) △파주 40곳(66.7%) △안산 38곳(69.1%) △군포의왕 33곳(80.5%) △의정부 28곳(82.4%) △동두천양주 24곳(51.1%) △광명 18곳(72.0%) △이천 18곳(58.1%) △여주 13곳(56.5%) △안성 11곳(33.3%) △포천 11곳(37.9%) △연천 9곳(69.2%) △양평 4곳(18.2%) △가평 1곳(7.7%) 등 전체 초등학교 1332곳의 73.2% 수준인 총 975교다.
해당 학교들은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 및 예·체능 △정서 지원 △놀이 중심의 초1 맞춤형 프로그램 △미래형·맞춤형 △디지털 학력향상 등의 선택형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시간 맞춤형 돌봄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초등보육전담사가 담당하는 ‘오후돌봄’은 모든 학교에서 기전처럼 방과후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한다.
학교가 희망할 경우 이른 등교를 하는 학생들에게 체육활동과 개인 돌봄관리 및 독서 등 ‘아침돌봄’을 제공할 수 있고, 오후 8시까지 연장 운영되는 ‘저녁돌봄’은 지역사회 협력 기반의 돌봄거점센터 중심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늘봄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한 교사 및 행정직 등 학교의 행정업무 부담 해소를 위해 학교별로 교육부에서 한시적으로 승인받은 정원 외 기간제 교사를 한 명씩 우선 배치해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행정 업무를 담당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각 학교는 지난 13일부터 기간제 교사 선발에 나선 상태다.
1학기에 늘봄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나머지 학교에 대해서는 하반기 전면시행 이후 단기행정인력이 배치돼 해당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특히 도교육청은 △학교 업무 지원을 위한 늘봄센터 역할 강화 △맞춤형 늘봄 프로그램 다양화 △아동 친화적 공간 조성 △지역 거점형 늘봄프로그램 및 센터 확대 등 ‘2024년 경기형 늘봄학교 운영 과제’를 기반으로 운영에 나서 지역 특성과 학교 상황에 맞게 늘봄학교 운영이 잘 이뤄지도록 준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반기 전면 시행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과대·과밀학교의 늘봄 수요 분산과 소규모 학교 지역의 교육돌봄, 공간 확보 및 인력 배치 등 늘봄학교 추진을 위한 현안 과제가 많다"며 "늘봄학교 집중 학교를 운영하며 상반기 준비기간 동안 학교 안팎의 늘봄 지원시스템을 보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늘봄학교 프로그램 운영 집중 지원교’ 명단은 도교육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경기교육청, 학교폭력 전문성·공정성 강화 나서
경기도교육청이 학교폭력 사안 처리에 대한 전문성과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학기부터 25개 교육지원청에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을 배치한다.
![](/_resources/10/2024/02/19/2023111614522330954_l.png)
도교육청은 지난 1월부터 교육지원청별로 실시한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공모를 통해 최종 506명을 선발·위촉했다고 19일 밝혔다.
학교폭력 업무·생활지도 및 학생 선도 경력과 사안 파악·정리 역량을 갖춘 퇴직교원, 퇴직경찰 또는 청소년 선도·보호·상담 활동 경력자 등으로 구성된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은 일선 교육지원청별로 배치돼 다음 달 2일부터 학교현장의 학교폭력 사안에 대한 처리를 지원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새롭게 도입하는 학교폭력전담조사관 제도가 학교 현장과 교육지원청에 안착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전담조사관의 사안처리 전문성·공정성 강화를 위해 학교폭력전담조사관 컨설팅단을 구성,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