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온난화로 국내에서도 아열대 과일 재배에 대한 농가들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국내 아열대 과일 재배면적도 2017년 109.5ha에서 2022년엔 188.8ha로 5년만에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렇다고 무작정 아열대 과일 재배에 나설 수는 없는 법.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아열대 과일 재배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별·작물별 '등유 소요량 지도'를 작성하고 난방비 부담을 줄이면서 경제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지역을 제시했다.
망고나 파파야 같은 아열대 작물은 자라는 데 필요한 온도(생육 적온)가 다른 작물보다 높은 편이어서 농가 경영비 가운데 난방비 비중이 큰 편이다.
실제로 난방비 비율을 따져 보니 망고는 경영비의 55%, 파파야는 경영비의 60%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진청 연구진은 패션푸르트, 파파야, 망고, 용과, 토마토, 만감류 등을 대상으로 2월 한 달간 1000㎡당 필요한 등유 소요량(0~3만L)을 추정했다. 이를 토대로 탄소 배출량을 산정하고 종합해 노란색부터 빨간색까지 9단계로 구분한 작물별 등유 소요량 지도를 만들었다.
등유 소요량 지도에 따르면 아열대 작물의 재배 권장 지역은 등유 소유량 1만1900리터(L) 이하와 탄소 배출량 30톤 이하인 곳이 해당한다.
예를 들어 중온성인 '아열대성 망고'는 전남 해남지역 이하에서 재배하는 것을 권장한다. 망고는 난방비 외에도 시설 온실 설치 등 초기 투자 비용이 만만치 않아 재배 여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에너지 소요량 지도를 도 농업기술원에 배포해 아열대 작물 재배 지침서로 활용하도록 했다.
김대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소장은 "새로운 소득 작물로 아열대 과일에 지자체와 농가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농가에서 이번 등유 소요량 지도를 참조하면, 난방비가 적게 들고 정부의 탄소 저감 정책에도 부합되며 경제성 높은 작물을 선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