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지역화폐 사업 등이 포함된 내년도 예산으로 국비 18조 5638억 원을 확보했다. 이는 전년보다 7528억 원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도는 지난 2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4년도 정부예산 수정안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_resources/10/2023/12/25/2023122511154693171_l.jpg)
먼저 서민·사회적 약자 등을 지원하는 복지 분야 예산은 경기도 인구 증가와 정부 약자복지 강화의 영향으로 2023년 11조 6912억 원에서 1조 2996억 원 증가해 약 13조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대표적인 사업은 △기초연금 3조 7818억 원 △영유아보육료·부모급여 1조 8548억 원 △생계급여 1조 3473억 원 등이다.
사회간접자본(SOC)·교통 분야의 경우 전년 확보액 3조 8093억 원 대비 다소 줄어든 금액인 3조 5136억 원을 확보했으나 기존 사업의 준공과 공정률 등에 따라 일부 예산이 감소한 것으로 사업추진에는 큰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대표 사업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파주-삼성-동탄) 1805억 원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1399억 원 △수도권 제2순환(김포-파주-포천) 고속도로 2707억 원 △평택~부여(서부 내륙) 민자고속도로 5902억 원 등이 있다.
2024년도 예산안이 국회에서 의결되기까지 도는 올해 2~3월부터 국비 확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국비사업을 선정·발굴해 지속적으로 중앙부처에 요청했다.
6월에는 경기지역 국회의원 보좌관을 대상으로 주요 국비사업 설명회를, 7월 국민의힘-경기·인천 예산정책협의회를 가진 데 이어 김동연 지사가 직접 추경호 경제부총리를 찾아 국비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8월에는 김동연 지사와 국회 예결위원회 간 예산협의 간담회를 열었고, 9월 더불어민주당-경기도 예산정책협의회, 10월 중앙협력본부 내 국비확보 대응 상황실을 개소한 데 이어 국정감사 때 경기도를 찾은 의원 가운데 예결위원이기도 한 경기도 의원들과 소통하며 도가 제출한 국비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나누기도 했다.
11월에는 오병권 행정1부지사와 염태영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기획조정실장, 정책기획관 등이 잇따라 국회를 찾은 데 이어 12월 김동연 지사가 또다시 국회를 찾아 서삼석 국회 예결위원장에게 주요 국비 사업에 대한 지원을 당부하는 등 다양한 국비확보 노력을 기울였다.
이같은 노력 결과 당초 정부 예산안에 담긴 18조 4577억 원 대비 1061억 원을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추가로 확보했다.
증액된 1061억 원은 50여개 사업 예산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 168억 원 △김포 도시철도 전동차 증차 한시 지원 46억 원 △수원발 KTX 직결사업 10억 원 등 사회간접자본(SOC)·교통 분야에 315억 원 △정부의 R&D분야 예산축소로 감액된 열린혁신 디지털 오픈랩 구축 10억 원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15억 원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노후)하수관로 정비사업 125억 원 등이다.
이희준 도 기획조정실장은 “경기도 발전을 위해 국비 확보에 힘쓴 경기도 국회의원들의 노력에 힘입어 역대 최대 국비를 확보하게 됐다”며 “어렵게 확보한 국비를 적재적소에 신속 집행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