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내부개발을 간절히 희망해온 전북에서 배수갑문을 열어 바닷물이 항시 들락날락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유통’은 오래된 ‘금기어’였다.
해수유통량이 늘면 방조제 안쪽 수위에 높아져 내부 매립면적이 줄어드는 등 전북과 대한민국의 21세기 새로운 미래가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가 지역민들의 뇌리에 똬리를 틀고 있는 까닭이다.
하지만 <프레시안> 전북취재본부가 지난 26일 베스트웨스턴플러스 전주호텔에서 주최한 ‘새만금과 전북의 미래’ 긴급 토론회에서 전북지역 시민·환경단체 관계자가 해수유통 확대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안하고 나서 관심을 끌었다. 비록 '내부개발에 차질이 없는 선에서'라는 단서조항을 달았지만 정부의 새만금기본계획(MP) 재수립과 맞물려 해수유통 문제는 또다시 뜨거운 감자로 등장할 전망이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이날 토론에서 “새만금위원회가 2021년 2월 하루 두 차례 해수유통으로 새만금호의 물관리방식을 결정한 이후 수질이 최대 COD(화학적산소요구량) 기준 3~4등급 수준으로 개선됐다”며 “해수유통이 되자 그동안 새만금사업의 발목을 잡았던 내부 수질문제가 상당히 해결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 3년 동안 새만금 수질 문제가 논란이 된 적이 없다”며 “하지만 일부 정체 수역은 여전히 5~6등급 수준이며 여름철 표층 수질 악화와 저층수 산소 부족, 새만금호 상류 만경강과 동진강 수질 문제 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현 대표는 이와 관련해 “지난 3년간 해수유통 물관리가 새만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면 이제 2024년 중장기 수질방안은 해수유통 확대로 새만금의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물관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일단 내부개발에 차질이 없는 선에서 배수갑문 증설과 조력발전 등 해수유통량 확대, 홍수기 제한수위 등 호내 관리수위의 탄력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RE100 산업단지 구축과 이차전지 기업 집적화, 호내 수질개선, 외해역 어족자원 확대 등을 담보할 최적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영기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지방자치연구소장도 이날 “새만금은 전북의 사업이 아니라 국책사업이다. 전북 스스로 창조한 사업이 아니라 국가가 필요해서 추진한 사업”이라며 “쌀이 남아도는 지금 내부토지를 무작정 고집할 것이 아니라 해수유통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할지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물은 고여 있으면 썩기 마련”이라며 “거대한 배수갑문을 하루에 두 차례씩 열자 방조제 안쪽의 대부분 지역에서 수질이 개선된 것만 봐도 해수유통 확대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있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정부는 2011년 새만금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할 당시 2020년까지 새만금호의 담수호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목표 수질 달성은커녕 수질이 계속 악화하자 2021년 2월부터 하루에 두 차례씩 갑문을 열어 바닷물이 들락날락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해수유통 확대 논란은 윤석열 정부가 30억원의 용역비를 들여 새만금기본계획(MP)을 재수립하겠다고 밝힌 것과 맞물려 향후 논쟁의 주요 이슈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각급 기관·단체 관계자들과 전북의 미래에 관심을 가진 2030세대 등 총 200여명의 참석자가 대거 몰려 100여석의 객석을 비좁게 만드는 등 대 성황을 이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