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 광복회장이 백선엽의 현충원 안장 기록에서 '친일행위자' 문구가 삭제된 것에 대해 "친일 기록을 삭제하려면 국민께 팩트를 소상히 알리고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했어야 했는데, 너무 성급하게 일을 추진하다 보니 절차적 정당성을 소홀히 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27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백선엽 장군 문제는 '친일이다, 아니다' 시비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백 장군이 다만 몇 년이라도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한 것도 사실이고, 국가유공자인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다. 팩트만 그대로 전하고 국민께 판단하시라고 하면 된다"고 말했다.
앞서 국가보훈부는 현충원 홈페이지 내 온라인 참배란에 있었던 백선엽 관련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됐다는 문구를 전격적으로 삭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광복회는 "보훈부가 법적, 절차적 논의와 국민적 공감대 없이 일방적으로 삭제했다"며 "원상복구"하라고 반발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백선엽 장군이 간도특설대에 복무한 것은 사실이지만 독립군을 토벌하였다는 객관적 자료는 없다"며 "백선엽 장관이 친일파가 아니라는데 장관직을 건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유관기관인 광복회 등의 의견도 청취하지 않은 박 장관의 이같은 일 처리는, 후에 정권이 바뀔 경우 똑같은 일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일이다. 장관 의지로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 문구 삭제가 가능하다면 반대로 부활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백선엽은 1993년 스스로 작성한 회고록 <군과 나> 일본어판에 "우리들(간도특설대)이 추격했던 게릴라 중에는 많은 조선인이 섞여 있었다. 주의주장이 다르다고 해도 한국인이 독립을 위해 싸우고 있었던 한국인들 토벌한 것이기 때문에 이이제이를 내세운 일본의 책략에 완전히 빠져든 형국이었다"며 "우리가 (일본을) 배반하고 오히려 게릴라가 되어 싸웠더라면 독립이 빨라졌다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동포에게 총을 겨눈 것은 사실이었고 비판을 받더라도 어쩔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로 4선 의원을 지내고 김대중 정부에서 국정원장을 역임한 이종찬 광복회장은 윤 대통령의 죽마고우인 이철우 연세대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부친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