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27일 정전협정체결일 70주년을 맞아 중국뿐만 아니라 러시아 인사들까지 초청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조성된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 국면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25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국방성의 초청에 의하여 국방상 쎄르게이 쇼이구 동지를 단장으로 하는 로씨야련방(러시아) 군사대표단이 위대한 조국해방전쟁승리 70돐에 즈음하여 우리나라를 축하방문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로씨야련방 군사대표단의 우리나라 방문은 전통적인 조로(북러)친선관계를 시대적 요구에 맞게 승화발전시키는 데서 중요한 계기로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24일 통신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리홍충(리홍중)동지를 단장으로 하는 중화인민공화국 당 및 정부대표단이 위대한 조국해방전쟁승리 70돐 경축행사에 참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방문하게 된다"며 중국 인사들도 같은 시기에 북한에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 공개한 바 있다.
북한이 지난 2020년 2월 코로나-19 바이러스 창궐 이후 외국의 인사들을 단체로 초청해 방문을 성사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북한이 미국과 러시아, 중국 간 갈등 상황을 최대한 활용, 스스로 '전승절'로 불리는 정전협정체결 70주년을 계기로 안보를 비롯한 종합적 국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펴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의 군사 행동에 대해 어떠한 단일한 목소리도 내지 못하고 있다.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이 한반도의 안보 상황에는 북한의 군사 행동뿐만 아니라 미국의 훈련 및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도 영향을 미친다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북한이 언제까지 이러한 국면을 활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중 관계가 지난해보다는 다소 완화되는 국면으로 향하고 있고,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등 고강도의 군사 행동까지 용인할 가능성은 높지 않기 때문에 중국을 활용하는 북한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날 기자들과 만난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고위급 인사의 북한 방문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이 이번 전승절 기념 열병식을 진행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는 북한이 최근 저녁 또는 심야 시간에 열병식으로 진행해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아직까지 특이 동향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이 연설을 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김 위원장은 2013년 60주년 전승절과 지난해 중앙보고대회에서 연설을 진행한 바 있다. 2015년과 2020, 2021년에는 전승절 계기 전국노병대회에서 연설을 가졌다.
북한이 이번 행사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국경을 개방할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방역 완화 조치와 스포츠 행사(광저우 아시안게임) 참여 준비 동향으로 볼 때 (국경 개방은) 어느 정도는 시간문제이지 않을까 싶다"면서도 "완전한 국경 개방으로 갈지 현 단계에서 시기를 특정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