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돼지’와 ‘동치미’의 어원 이야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돼지’와 ‘동치미’의 어원 이야기

우리말은 한자어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 지난 번에 제육볶음에 관한 글을 한 번 쓴 적이 있는데 반향이 제법 많았다. 원래는 ‘저육볶음(猪肉, 豬肉볶음, 돼지 猪, 저팔계 = 돼지)’이라는 식으로 논지를 전개하였다. 실제로 제육볶음(돼지고기를 갖은 양념을 넣어 볶다가 부추를 다시 넣고 볶은 음식)이라고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만, 이는 실상 무식한 사람들이 ‘저육(猪肉)’의 한자가 제육(諸肉)과 비슷하게 생긴 것에서 범한 오류였다. 그렇다고 필자 혼자 지금에 와서 저육볶음이라고 한다면 이 또한 좋은 소리를 듣지는 못한다. 언어는 늘 변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무식한 것이 유식을 넘어서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런 얘기는 다음으로 미루고 돼지의 우리말 유래를 알아보는 것으로 오늘 얘기를 전개하고자 한다.

우선 ‘돼지’는 원래 산에서 살던 짐승이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사전에도 “1. 포유류 멧돼지과에 속한 집짐승, 2. 욕심이 많고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몹시 살이 찐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고 보면 돼지에 대한 비유가 썩 좋은 것은 없다. 소설 속에서 저팔계는 미련하기는 하지만 순진하기만 한데, 속세에서의 돼지는 그냥 미련하고 살찐 짐승으로만 묘사되고 있다. 계림유사(<鷄林類事>)라는 책에 보면 “猪曰突(저왈돌 :돼지를 돋이라고 한다)”라고 나타나 있다. 과거에는 ‘ㄹ’발음을 ‘ㄷ’으로 한 것이 많으니 ‘돝’이나 ‘돋’으로 읽어야 한다. <능엄경언해>라는 책을 보아도 “곧 괴, 가히, 닭, 돋 종류라(卽猫犬鷄猪類也, 곧 고양이 개, 닭, 돼지 종류라)”라고 나타나 있으며, 옛 문헌을 보면 ‘도태기름(돼지기름豚膏)’, ‘도다지(豚)’ 등으로 표기된 것이 많은 것으로 보아 ‘돼지’의 어원은 ‘돝’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돋,돝>도”로 변하여 왔다. 이어서 ‘아지’라는 말은 우리말에서 귀여운 것을 일컫는 단어다. 강아지, 망아지, 송아지 등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을 다시 연결하여 단어를 풀어보자.

‘돝아지>도아지>도야지>돼지’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말 돼지의 어원은 ‘돋, 돝’으로 보는 것이 옳다.

이어서 동치미의 어원을 살펴보자. 겨울이면 시원한 동치미가 그리운 것은 필자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우리 민족은 너나 할 것 없이 동치미를 좋아한다. 고구마와 함께 먹는 동치미는 꿀맛보다 낫고, 동치미에 말아먹는 시원한 국수는 당할 것이 없다. 어머니의 동치미는 세계에서 제일 맛이 좋았다. 그저 소금과 파뿌리만 넣었다고 하시는데, 아무리 흉내를 내도 그 맛은 다니 찾을 수가 없다.

김치가 침채(沈菜)에서 유래했다는 것은 이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침채>딤채>김치’의 과정을 거쳐서 지금에 이르렀다. 다행스러운 것은 김치냉장고 이름이 그것을 살려주고 있어 나름대로 고맙게 생각한다. 동치미는 “무를 소금물에 담가 익힌 무김치의 한 가지”라고 되어 있는데, 이러한 설명만으로는 그 맛을 느낄 수가 없다. 아무튼 동치미는 한자어 동침(冬沈)에서 비롯되었다. 홍석모라는 사람이 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무뿌리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절여 김치를 담근 것을 동침이라고 한다.(取蔓菁根小者 作菹 名曰 冬沈)”라고 하였다. 그러니까 원래 이름은 ‘동침’이었는데, 현대로 오면서 ‘동치미’로 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김치 종류는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김장김치와 동치미는 한국 음식의 대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자어에서 유래한 단어임은 분명하지만 이제는 완전히 우리말로 굳은 것이고 우리 문화의 대표적인 것이니 만큼 이에 대한 보전이 더욱 절실하다.

문화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언어는 그 문화를 지탱하는 가장 기본임을 인식하자.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