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임금노동자의 주택 소유율이 전국 지자체에서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집값을 임금 노동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주는 지표로 풀이된다.
30일 통계청이 전날 발표한 '행정자료 연계로 살펴본 주택 소유 현황 분석'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서울 임금노동자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47.9%였다.
이 비율이 과반에 미치지 못한 지자체는 전국에서 서울이 유일했다.
임노동자 가구의 주택 소유율이 가장 컸던 지역은 울산이었다. 임노동자 가구 66.9%가 내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어 경남 63.8%, 경북 61.6%, 전남 61.1%, 전북 60.8% 순이었다.
울산, 경남, 경북은 제조업 단지가 밀집한 지역이다. 양질의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많아 임노동자의 내집 마련이 비교적 수월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지자체와 대조적으로 광역시의 임노동자 가구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광주 59.9%, 대구 59.1%, 인천 58.4%, 부산 58.3%를 각각 기록했다.
서울을 제외하면 해당 비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역은 세종 54.1%, 제주 53.7%였다. 다만 이들 지자체도 해당 비율이 과반은 웃돌았다.
주택소유율을 만 18세 미만 아동 거주 유무를 기준으로 나눠 보면, 아동이 있는 가구의 주택소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아동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66.1%였고 비아동가구는 53.5%였다. 자녀가 있는 가정이 내집 마련에 보다 적극적이었음을 추정 가능한 대목이다. 아울러 비자녀 가구에 상대적으로 빈곤한 1인 가구가 많았던 결과가 반영됐다.
2021년 기준 주택을 소유한 등록취업자(비임금노동자 포함) 958만 명을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소유자 비중이 60.6%에 달한 반면, 여성 소유자 비중은 39.4%에 그쳤다.
이는 주택 소유자 중 임노동자가 736만 명으로 비임금노동자 183만 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임노동자 중에서도 남성 비중이 60.6%에 달해 여성 임노동자(39.4%)보다 컸던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임금노동자 1인당 평균 소유주택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북, 충남, 강원으로 이들 지역 임금노동자 1인이 소유한 평균 주택수는 1.1호였다.
반면 서울은 1.01호에 그쳐 역시 전 지자체 중 가장 낮았다. 집값이 큰 영향을 끼친 결과로 풀이된다.
비임금노동자의 1인당 평균 소유주택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부산이었다. 비임금노동자 1인당 평균 1.39호의 주택을 소유했다.
이 통계에서 가장 적었던 지역은 대구로 1.13호였다.
시군구별로 주택을 소유한 임금노동자 가구 가운데 2채 이상을 소유한 주택 소유자 비중이 가장 컸던 지역은 충남 당진시였다. 20.5%였다. 이어 부산 해운대구(20.2%), 대구 수성구(19.6%), 충남 공주시(19.5%), 제주 서귀포시(19.1%) 순이었다. 서울 지자체는 이 통계 상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비임금노동자 기준으로는 달랐다. 2채 이상 주택을 소유한 비임금노동자 주택소유자 비중이 가장 컸던 지역은 제주 서귀포시로 30.2%였다.
이어 서울 송파구가 28.7%였고 제주 제주시 27.2%, 서울 강남구 26.8%, 서울 서초구 26.6% 순이었다.
서울의 이른바 강남 3구가 상위에 모두 포함됐다. 서울 종로구(25.9%)까지 포함해 상위 10위 중 서울 지자체가 4곳에 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