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낙동강 녹조 현상과 함께 부산 수돗물에도 영향이 미쳐지자 환경단체들이 현실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낙동강부산네트워크, 부산환경회의 등은 12일 오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는 수돗물 녹조 악취 사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9일 오전부터 남구, 수영구, 북구 등에서 수돗물에 흙냄새 혹은 곰팡이 냄새가 난다는 다수의 민원이 접수된 바 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확인한 결과 화명정수장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에서 냄새유발 물질인 지오스민(Geosmin)이 0.053㎍/L 검출됐다. 이는 환경부 감시기준 0.02㎍/L보다 높은 값이다.
문제의 원인으로는 고도정수처리시설 개선공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취수원인 낙동강 남조류가 증식하며 냄새를 유발하는 지오스민이 정제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고도정수처리시설 개선공사를 중단하고 다시 가동하면서 지오스민 수치는 0.001㎍/L 수준으로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같은 개선공사를 지난해 6월 28일부터 7월 2일까지 같은 방식으로 공사를 진행했음에도 올해와 같은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현재 상태만 놓고 본다면 낙동강 녹조가 매년 심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수돗물 민원은 9일 오전부터였지만 부산시 대책 시행은 12시간 뒤인 오후 9시였다"며 "가장 우려되는 것은 부산시가 제대로 정수하지 못한 것이 단순히 냄새 유발 물질인 지오스민뿐만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녹조가 발생하는 하절기에는 조류경보제 발령과 상관없이 매일 수독물 마이크로시스틴 모니터링, 조류경보제 관리 항목에 남세균 독성물질 추가 등 기준 마련과 기준강화를 요구해왔다"며 "부산시와 환경부의 수돗물 검사를 전면 재검토하고 재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낙동강 녹조 발생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오염물질로 인한 영향만이 아니다. 이미 낙동강은 보로 인해 강물이 흐르지 못하고 고여있는 상태에서 녹조의 영양분이 강안에 누적돼 여름마다 상시 발생한다"며 "그런데 환경부는 이런 낙동강의 보로 인한 녹조발생 원인은 외면하고 반쪽 대책만 내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자상 낙동강부산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지금까지 근본적인 낙동강 수질 대책을 요구했지만 여전히 미완된채 봉합되는 실정이다. 이번 악취 계기도 온도가 올라가면서 물이 정체되면 악취가 난다는 조상이 경고해온 자연의 섭리다"며 "그런데도 불구하고 4대강 이후 여름 녹조 대책이 안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새로운 녹조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