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7년 경기도 31개 시·군 중 화성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비한 지역활력지수 운영, 행복담당관 설치 등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5일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연구보고서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1223만 명에서 지난해 1358만 명으로 경기도 인구가 10년간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통계청이 올해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에서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는(사망자 7만8990명, 출생아 7만5277명) '데드크로스'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감사원이 2021년 7월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 실태 감사보고서'에서는 2067년 화성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을 소멸 고위험 지역(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다섯 배가 넘는 곳)으로 분류했다. 현재 도내 소멸위험 지역(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두 배가 넘는 곳)은 가평, 연천, 양평, 여주, 포천, 동두천 등 6곳이다.
연구원은 도가 시·군의 소멸 위기를 적극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청년의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경기청년 로컬크리에이터(지역의 특성에 혁신적 아이디어를 접목해 지역문제 해결하거나 경제적 가치 창출)’ 양성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 지원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이라는 단선적 접근에서 벗어나 사람의 활동으로 활력을 되찾기 위한 '생활인구(교육, 관광, 업무 등을 위해 특정 지역을 방문해 체류하는 사람)’ 정책적 접근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사람의 활동에 기반한 ‘경기도 지역 활력 지수’를 통한 31개 시·군의 특성이 반영된 경기도 지역 균형 발전 유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행복담당관’을 설치하고 각종 행복 지원사업 개발 등을 제시했다.
김성하 경기연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시군별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 고유 브랜드를 창출하고 정주 의식을 높이면서 지역 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행‧재정 지원을 실시해야 한다”라며 “소멸위험 지역 여부에 따른 31개 시군의 경쟁적 관계 등 부정적 요소를 해소하고, 지역 활력의 관점에서 발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