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후도지사로, 경기도가 대한민국 기후변화 대응의 첨병이 되도록 이끌겠다"라고 강조했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광명시 새빛공원 자경저류지에서 '기후 대응 맞손토크'를 열고 광명시민들과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을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기후변화에 대해 가장 앞장서는 지자체가 되겠다. 경기도 레드팀에서 제일 처음 제안한 것이 도청 카페에서 1회용 컵을 없애자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 1월부터 도청 내 1회용 컵을 다회용으로 바꿨고 4월부터는 밖에서 식사하고 들어오는 직원들이 1회용 컵을 들고 오지 않기로 했다. 다음 단계로는 식사 배달 시 나오는 플라스틱 용기를 없애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그는 인류를 위협하는 3대 과제로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인구 위기를 꼽으면서 광명시와 경기도가 함께 노력하자고 독려했다.
이어진 맞손토크에는 광명시 1.5°C 기후의병, 지역주민, 초중고 학생, 시민단체를 비롯해 박승원 광명시장, 안성환 광명시의회 의장, 임오경·양기대 국회의원, 최민·김용성·조희선 도의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광명시 1.5°C 기후의병은 지구 온도 1.5℃ 상승을 막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기후 행동을 실천하는 광명시민들로 약 1000여 명이 활동 중이다.
유럽연합 기후 행동 친선대사로 활동 중인 방송인 줄리안의 '우리가 탄소중립을 이뤄내야 하는 이유'를 주제로 기조연설한 뒤 김 지사와 참석자들은 소통 토크를 통해 의견을 나눴다.
경기도 기회기자단 단원인 A양(광명시 안현초교 6학년)은 "도지사님은 환경보호를 위해 어떤 실천을 하고 있나"라고 질문했다.
김 지사는 "과거 비영리 사단법인을 만들어 플로깅(조깅하며 쓰레기 줍기) 캠페인을 하기도 했고 광교산을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다든지, 텀블러나 머그컵을 쓰고 있다"라고 답했다.
또 "정책적으로는 환경국을 기후환경에너지국으로 개편하고 RE100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도청과 공공기관부터 RE100을 하고 기업과 도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열심히 추진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청년단체 운영진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B씨는 "청년들은 기후 위기가 생사로 와닿는 문제여서 많은 걱정을 하고 있는데 청년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환경 정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나"라고 물었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200명의 청년이 활동하는 청년자문단이 있는데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정책개발을 해서 제안하는 역할을 하고 경기도가 그 정책에 예산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청년기회 패키지 사업을 통해 500명 정도를 뽑아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 갭이어'를 시행한다. 만약 청년 중에서 기후변화나 환경 활동에 뜻이 있다면 거기에 지원을 하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맞손토크 현장에서는 제78회 식목일을 앞두고 광명시 1.5°C 기후의병과 함께하는 탄소중립 나무 심기도 진행됐다. 새빛공원은 오는 10월 '2023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예정지'로, 수목 생육이 불량한 도시공원을 리모델링해 건강한 도시 숲을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