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진행된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위안부 문제와 독도 영유권 문제를 언급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정상회담에서 오고간 정상들의 대화는 다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18일 YTN <뉴스와이드>에 출연한 김 차장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의 당사자의 한 사람이 당시 외무상이던 기시다 총리"라며 "통절한 반성과 사과를 그대로 낭독했고 3년 뒤에 우리나라가 화해치유재단을 해체해버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차장은 당시 합의에 따라 일본이 화해치유재단에 출연한 100억 원(10억 엔) 중 56억 원이 남은 점을 언급하며 "위안부 합의가 계속 존중되고 일본이 했던 그 당시 발표가 유효하기 때문에 화해치유재단의 잔액을 적절하게 미래지향적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도 KBS <9시 뉴스>에 출연해 정상회담에서 "독도라든지 위안부 문제는 의제로서 논의된 바 없다"면서 "정상회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의제로 논의하지는 않았으나 기시다 총리가 일방적으로 거론했을 가능성은 부인하지 않은 것이다.
김 차장은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는 언급 외에 기시다 총리가 사과와 반성이 담긴 입장을 새롭게 밝히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외교부가 집계한 일본의 우리에 대한 공식 사과가 20차례가 넘는다"고 했다.
또한 "정상회담에 임할 때 윤석열 대통령과 참모진, 외교부의 입장은 사사건건 '우리가 뭘 할 테니 일본 정부는 이걸 해 달라'는 접근을 꾀하지 않았다"고 했다. 강제동원 문제를 일방적으로 양보하면서도 주고받기식 협상 방식을 취하지는 않았다는 의미다. 그는 "지금 우리가 뭐가 부족해서 무얼 얻어내겠다는 발상을 버리고 좀 더 세계적으로, 글로벌하게 나가고 싶다"고 부연했다.
김 차장은 특히 정부가 '제3자 변제' 방식을 공식 발표하기 전 "일본 쪽과 비공개로 협의하면서 '우리가 이렇게 결정하려고 한다'고 했을 때 사실 일본이 깜짝 놀랐다"고 밝혔다. 일본 측이 "이렇게 하면 한국 국내정치에 괜찮을지 모르지만, 우리로서는 학수고대하던 해법"이라며 반색했다는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