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조성녹지의 4분의 1에 육박하는 아파트 녹지를 '그린인프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3일 공개한 '아파트 녹지의 재발견 도시의 핵심 그린인프라로 활용하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도내 조성녹지는 208.8㎢로 도시공원 97.8㎢, 시설녹지 63.2㎢, 아파트(공동주택단지) 녹지 47.7㎢로 구성됐다. 아파트 녹지 면적은 오산시 면적(42.7㎢) 보다 크며, 여의도 면적(2.9㎢)의 16배를 넘는다.
도내에는 지난 20년간 36㎢ 규모의 아파트 녹지가 조성됐으며, 최근 5년간 조성된 면적은 11.9㎢로 0.2㎢ 크기 100개의 근린공원 녹지면적과 같다.
최근 급격히 늘어나는 공동주택단지 리모델링 사업, 1기 신도시 재건축, 3기 신도시 조성 등을 고려한다면 도시공원의 증가속도 보다 아파트 녹지의 증가 속도가 앞선다는 방증이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과 관련법 개정으로 지하주차장이 확대되기 시작한 2000년 들어 아파트 내 녹지 면적이 급격히 늘어났다.
하지만 사유지라는 이유로 공공의 관심이 부족해 공동주택단지 내 녹지관리를 위한 법과 제도는 미흡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도내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사용내역을 분석한 결과, 아파트 연간관리비의 약 4.7% 정도만 녹지관리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면적당 관리비도 도시공원 유지관리비의 1/4 수준(827/1㎡)에 머무르는 등 도시의 중요한 그린인프라에 적합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아파트 녹지관리 현장을 조사한 결과, 일시적으로 발생한 현안 해결을 위해 최소한의 비용이 소요되는 형태로 예산 집행이 이뤄지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도시 그린인프라에 대한 많은 관심과 투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에 아파트 녹지에 대한 관리 소홀은 큰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원은 도시 내 그린인프라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민간, 중앙정부, 지자체의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원은 또 도시의 핵심 그린인프라 차원의 아파트 녹지관리 방안으로 공동주택 녹지의 조성과 관리사항을 공원녹지기본계획, 도시숲기본계획 등과 함께 장기적으로 도시계획 관련법에서 다룰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공동주택관리법 개정을 통해 명확한 녹지관리 규정을 마련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수목관리 지침을 제정해 기초지자체, 공동주택단지 관리자, 녹지관리 사업자 등이 활용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의 역할 분담과 거버넌스를 통해 관련정책의 효율적인 추진 등을 제시했다.
김한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아파트 녹지가 가지는 그린인프라로서의 공공성에 집중하고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이 각각 책임 있는 모습으로 아파트 녹지에 대한 지원정책을 만들고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