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에 대항하는 지역교육생태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지자체와 학교, 교육행정이 더욱 탄탄한 교육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됐다.
지역교육공동체 건설을 꿈꾸며 지역교육 정책개발과 전북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해온 전북지역교육연구소(대표 이미영)는 지난 25일 전라북도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지역사회에 기반한 전북교육협력방안과 발전과제'를 주제로 '제10차 교육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교육정책 세미나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교육협력방안과 발전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전북교육협력의 현주소를 각 부문에서 진단하고 타 지역 모범사례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주제 발제를 맡은 양병찬(공주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역소멸에 대항하는 지역교육생태계의 구축’을 주제로 발표했다.
양 교수는 "지자체와 교육행정의 협력 전략인 학교와 대학, 지역이 변혁적, 협력적 교육공동체로서 이 위기를 넘어갈 수 있다는 재생 회복의 관점으로 관점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기 위해서 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여건 프로젝트 추진, ② 지역 재생을 위한 지역의 교육력 향상을 위한 주민들의 교육 강화, ③ 지역공동체 사업들의 연계화로 혁신교육과 평생학습의 연계, 마을공동체 사업의 제휴, 지역 교육복지 사업 통합을 제시했다.
양 교수는 또 "지역교육생태계를 모범적으로 구축한 ‘교육자치도시로서의 협력 거버넌스’의 경기도 시흥시, ‘교육민회를 통한 주민의 교육협력 거버넌스’의 전남 순천시 등 사례를 소개했다. 다음으로 지역공동체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①지역교육협력을 위한 교육청과 지방정부와의 거버넌스 구축 ②지역과 학교 연계 사업 추진을 위한 교육사업 통합운영 ③지역 격차 극복을 위한 농촌교육 지원사업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이정영 회장(전북마을교육공동체협의회)은 ‘전북마을교육공동체 현황과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학교, 학부모, 지역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 학교와 마을에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교육생태계를 구축해야 하며 지자체와 교육청은 지속가능한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해 중간지원조직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희 도의원은 ‘전라북도 교육 거버넌스 발전과제’에서 지역성을 강조하는 흐름은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추세라며 기존의 지역사회 교육 거버넌스의 문제점인 '관주도 종속적 교육 거버넌스'에서 새로운 지역사회 거버넌스 추진 방향은 민•관•학 협업 자치형 교육 거버넌스로 전환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용채 기획처장(전북대)은 ‘지역사회 기반 대학의 교육협력 방안’을 통해 "농생명, 연기금, 공간, 전기안전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해 전북 23개 기관과 제주 2개 기관 구성의 지역선도대학육성사업에서 지역특화산업인력과 융합인재를 육성한다고 소개했고 고교학점제 추진을 위한 교육청-대학의 원스톱 소통창구 마련 등 대학의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황영모 연구위원(전북연구원)은 ‘지역소멸위기, 농촌학교 살리기 대응 전략과제’에서 "농촌학교는 지역사회 구심점으로 기능, 관계망 안에서 지역사회가 함께 돌봐야 한다"며 "농촌학교를 농촌 재생 관점에서 다각도의 정책 수단과 경제 투입을 통해 농촌학교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연구위원은 경남 서하초 작은학교살리기 사례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지역 활성화 및 작은 학교 살리기 협의회’를 개최, 전입 학생과 학부모에게 주거와 일자리 제공, 우수한 교육과정과 교육 혜택 제공 등으로 인구를 유입(20년, 54명)한 사례를 소개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