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기 정의당 부산시당을 이끌게 된 김영진 시당위원장이 "시민 여러분 곁에서 말이 아닌 실력으로 인정받고 실천으로 평가받겠다"며 민생 정당으로 새로운 발돋움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위원장은 1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두 거대 정당이 부산시민을 기만하고 민생을 내팽개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정의당을 대안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부산시의 모습도 국회나 정부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지난 10월 7일 임시회를 끝낸 국민의힘이 절대다수인 시의회는 지난 부산시 추경예산에 이어 제대로 견제는커녕 부산시가 제출한 조례안과 동의안을 그대로 통과시키기 급급한 수준을 넘어 앞장서서 무리한 공공기관 통폐합을 주장하고 자신의 지역구 민원해결에만 골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더민주당 시의원에게 부산시와 시의회를 제대로 견제하는 역할을 기대하기는 매우 힘들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지역 거점대학도 신입생 대비 자퇴생의 비율이 2016년 9.8%에서 17.7%로 늘어나는 등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사립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정원조차 제대로 채우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청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줄이겠다고 밝히고 있는데 부산시 교육청은 3000억 원이 넘는 호화 청사를 신축 이전하겠다고 한다"고 말했다.
또한 "부산의 고용률은 여전히 불안하며 청년 일자리 문제뿐만이 아니라 부산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노령인구의 빈곤과 자립문제를 해결할 복지모델 구축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여전히 전시행정에만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 파기된 '부울경 특별연합' 사례를 두고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서라면 부산시민의 혈세와 미래와는 상관없이 얼마든지 뒤집고 말 바꾸기로 일관하는 두 거대정당의 모습을 수도 없이 봐왔다. 동남권 신공항이 그랬고 이번 특별연합 포기도 그렇다. 엑스포 또한 그러지 말라는 법이 없을 것 같다"고 꼬집었다.
김 위원장은 "국회와 시의회에 그래도 진보정당이 들어가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당위적인 얘기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며 "부산시민 여러분에게 말씀드린 생활밀착형 공약처럼 시민의 삶과 맞닿아 있는 정책으로 민생을 직접 챙기는 부산시당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