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수원 세 모녀’ 비극과 같은 사례를 막기 위해 운영 중인 '긴급복지 핫라인'을 통해 218명을 긴급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난 8월 25일 개설한 긴급복지 핫라인과 콜센터를 통해 접수된 복지분야 전화(문자메시지 포함)는 모두 397건(4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도는 접수된 397명 중 218명을 기존 복지제도와 연계 지원하거나 민간의 도움을 받아 물품을 제공하는 등 복지서비스 제공을 완료했다. 나머지 179명은 상담이 진행 중이다.
사례를 보면, A씨(60대)는 긴급복지 핫라인을 통해 새롭게 복지서비스를 받게 된 사례로 지난달 '배움은 짧아도 일할 수 있었는데 요즘은 살기 너무 지친다'라며 핫라인으로 연락을 해왔다.
그간 일용직으로 일하며 90세 노모를 모셔왔으나 최근 노모가 다리골절로 수술하게 되면서 병간호하느라 일을 그만두고 월세도 밀려있고 건강보험료도 내지 못한 딱한 사정이었다.
도 긴급복지 핫라인 전문상담원은 해당 동 행정복지센터 사례관리 담당자에게 A씨 사연을 연계했다. 해당 시는 현재 A씨에게 긴급복지 생계급여를 지급하는 한편 주거급여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B씨(50대)는 현재 지원받고 있는 복지서비스로는 해결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어 민간의 후원을 연계해준 사례다.
희귀난치암과 교통사고 수술 등으로 일을 할 수 없고 20여만 원의 생계비가 전부인 B씨는 임대주택 관리비가 6개월째 연체돼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도움을 주실 수 없냐'며 핫라인을 두드린 B씨에 대해 도는 관할 행정복지센터 담당자에게 연계해 추가 지원 방법을 의논했고, 사회복지협의회 '좋은이웃들' 사업을 연계해 체납된 관리비를 우선 변제토록 연결했다.
또 B씨의 근로능력 평가 등을 통해 맞춤형 취업능력 향상프로그램을 연계하는 방안 등을 찾고 있다.
앞서 지난달 13일 김동연 도지사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아무도 신경 써주는 사람이 없는 막막한 상황에 처해 절박한 심정으로 전화를 거는 분, 한 분도 포기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개선하고 또 개선하겠다”고 약속함에 따라 긴급복지 핫라인 및 콜센터 운영 체계를 개편한 바 있다.
도는 '긴급복지 전용 콜센터'의 자동응답시스템(ARS) 안내문 문구를 개선해 민원인이 상담사와 통화 연결까지 시간을 기존 21초에서 8초로 줄여 상담 문턱을 낮췄다.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도 운영 초기 120경기도콜센터와 통합 운영하려 했으나 계속 유지하고 있다. 휴대폰 번호여서 기계가 아닌 사람이 받을 것이라는 기대가 수요자에게 있기 때문이다.
윤영미 도 복지정책과장은 “긴급복지 위기상담을 하다 보면 사회적 편견 등으로 쉽게 도움 요청을 못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로 연락을 주실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에 노력을 계속하겠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